설명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완결되고 통일성 있는 텍스트를 잘 쓸 수 있도록 설명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구조와 구조를 연결하는 표지 기능을 분석하여,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완결되고 통일성 있는 텍스트를 잘 쓸 수 있도록 설명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구조와 구조를 연결하는 표지 기능을 분석하여,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설명텍스트를 일상용 설명텍스트와 교육용 설명텍스트로 나누어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두 종류 자료에서 텍스트를 구성하는 최상위구조와 내용을 연결하여 구조를 만드는 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텍스트의 특징을 중심으로 텍스트 요인과 장르 중심 쓰기 (Genere-based writing)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하였다.
각 장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일상용 설명텍스트와 교육 기관에서 학습하는 교육용 설명텍스트이다. 일상용 설명텍스트는 설명문, 교재, 관광안내서, 약품설명서 등 다양한 자료에서 교육적 활용도가 높은 내용을 선별하여 21편 15,668어절을 자료로 구축하였다. 설명텍스트는 국어 교과서 7편 8,286어절, 한국어 교재 43편 8,076어절을 자료로 구축하여 총 32,030어절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분석의 틀을 세우기 위하여 텍스트 언어학과 쓰기 교육의 이론적인 배경을 정리하면서 연구 방법을 정립하였고,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쓰기 교육의 목표, 쓰기 교육 개발 원리, 쓰기 교육의 단계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텍스트 언어학의 방법으로 구축한 자료를 미시구조, 거시구조, 최상위구조의 세 층위에서 분석한다. 미시구조에서 분석하는 표지는 명제, 문장 뿐 아니라 내용 단락, 의미 단락 등 다양한 층위에서 구조를 결속시켜 주는 표지를 ‘나열, 강조, 전환, 인과, 예시-정의, 대조-비교, 포괄-분류’의 일곱 가지 구조를 설정하고 일상용 설명텍스트, 교육용 설명텍스트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거시구조는 미시구조에서 분석한 표지를 바탕으로 쓰기 교육의 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는 적합한 도식을 구성하여 구체적인 정보와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최상위구조에서는 미시구조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전체 구성을 분석하였다.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쓰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설명텍스트의 구조 정보를 구축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설명텍스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반영하여 쓰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쓰기 교육의 목표, 원리, 교육의 단계를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실제 한국어 쓰기 교육을 모형으로 상위 단계로 갈수록 점점 복잡해지고 세밀해지는 기능을 교수-학습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모든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으로 설득텍스트, 정서를 표현하는 문학의 텍스트, 사회적 의사소통을 하는 편지·이메일 등의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 분석 연구가 추가 된다면 쓰기 교육에 새로운 목표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또한 텍스트의 유형별 형식과 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쓰기 교육 뿐 아니라 읽기나 말하기의 분야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 have analyzed text-structures and markers of text structures in information-carrying texts so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n use explanatory texts with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 have analyzed text-structures and markers of text structures in information-carrying texts so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n use explanatory texts with completeness, unity and coherence.
First, I divided the explanatory texts that ar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general explanatory texts and instructional explanatory texts for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 then formed a database from two material groups, and compared tap-level structure with markers of text structures. Based on these results, I organized the elements focused on the features of texts and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genre-based writing so they can be used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each chapter:
I provide a detailed outline of the objectives, targets, methods,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in Chapter 1. This study has collected 21 general explanatory texts from explanations such as teaching materials, tourism guides, and chemical manuals, among others, frequently used in public. Instructional explanatory texts in the study have been selected from seven Korean-language textbooks for native students and 43 Korean-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stitutes an analysis of a total 32,030 syllables.
In Chapter 2, research methods are established through organi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ext linguistics and writing education. For appl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 look at the goals of writing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education, and the steps of writing education.
In Chapter 3, I analyzed the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and top-level structure of the texts using texts linguistics. The markers of text-structure uniting structure in various levels such as propositions, sentences, content paragraphs, and meaning paragraphs, among others, are categorized into seven structures which are enumeration, emphasis, transposition, causation, illustration-definition, contrast-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in the micro-structure. Then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eneral explanatory texts and instructional explanatory texts.
The study makes a diagram based on the markers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and indicates writing strategies in macro-structure. I examined the whole construction of texts and patterns of textual organizat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micro-structure in the top-level structure of texts.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3, I aimed to organize the structural data for the explanatory texts so they can be used in writing education.
Chapter 4 is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3. I discuss the objectives, principles, and steps of education which can be used for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language level of learners.
In Chapter 5, the models for actual Korean writing education are suggested. As the level of writing education advances, these models are more complicated and more detailed. I summarize all the results in Chapter 6.
This study could provide a new objective for writing education, if its research approach of examining texts of persuasion, emotional expressions in literature, and social communication, such as a letters, e-mails, and so on, is additionally applied to currently existing writing teaching model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not only for reading and speaking education but also writing education.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