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수정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conversational analysis.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in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 was carri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conversational analysis.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in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 was carried out and then the result and features were considered. The study further aims to suggest techniques which would apply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conside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ajor research conducted by previous researchers on conversational analysis as well as their repair patterns in conversations.
The second chapter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on repair in conversations as well as theor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e first define the concept of 'repair in conversation'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analyze repair in conversations based on the known patterns of repair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Referencing theor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theory of comprehensible output, interaction and negotiation for meaning.
Third chapter explains not only the way to select the subjects for study how to collect data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process for data collection raised by previous research and the methods for analysis are also discussed.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types of repair in conversations presented by Schegloff, Jefferson & Sacks(1977), and studies the function of repair in conversations. Through this, we considered the features of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patterns of repair in conversations that emerge that are distinguishable from the native Korean speakers.
After evalua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pair" behavior presented in conversatio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the discussion of Chapter 4), Chapter 5 makes suggestions for teaching speaking. The study is aimed to draw out strategies used in repair in conversations for dealing with conversational problems which can be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focused on pragmatic information applicable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for authentic material development.
We discovered that non-native Korean speakers strive to their conversational problems through the active repair in conversations. Simultaneously, they try to amend their interim language with checking their utterances to be more like native Korean speaker. Furthermore, it was noticed that the result of execution of repair in conversations among non-native Korean speakers is mostly successful and the process, gleaned from the conversation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functioned positively to acquire other languages by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access to 'modified input' and to 'comprehensible output' through interactive collaboration.

연구한국비원어민 화자대화 수정(repair)의 양상대화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수정의 유형과 기능을 분석하고, 대화 수정의 ...

연구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수정(repair)의 양상을 대화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수정의 유형과 기능을 분석하고, 대화 수정의 결과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대화분석과 대화에서 나타난 수정 양상을 살피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주요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고찰해 보고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대화 수정 이론과 외국어 습득 이론을 살펴보았다. 대화 수정 이론에서는 '대화 수정'의 개념을 정의하고 모국어 화자 간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화 수정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대화 수정 양상의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외국어 습득 이론에서는 이해 가능한 출력에 대한 이론과 상호작용 및 의미협상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비원어민 화자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 대상 선정과 예비 조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Schegloff, Jefferson & Sacks(1977)에서 제시한 대화 수정의 유형을 기초로 수집된 대화 자료를 분석하고 수정이 대화상에서 이행하는 기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행된 대화 수정의 결과와 특징을 통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에서의 수정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모국어 화자 간 대화에서 나타나는 수정의 양상과 어떻게 다른지도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4장에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 간 대화에서 나타나는 수정 행위의 교육적 함의를 평가해 보고 이를 말하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교육 자료의 실제성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재가 다루어야 하는 화용적 정보, 그 중에서도 대화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수정 전략에 관한 논의를 이끌어 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목표어로 하고 있는 비원어민 화자들의 경우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신들이 처한 문제적 상황을 ‘대화 수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시에 목표어인 한국어를 좀 더 한국어답게 구사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발화를 점검하며 자신의 중간 언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원어민 화자 간의 대화에서 나타난 대화 수정 실행의 결과는 거의 대부분 성공적이었으며, 이는 비원어민 화자 간의 대화에 나타나는 대화 수정의 과정이 상호 간의 협력을 통한 ‘조정된 입력’으로써 그리고 ‘이해 가능한 출력어’의 표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