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간 언어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다국어 텍스트 병용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Currently South Korea steps up effort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with preparing for 2010, which marks 'Visit Korea Year'. The country is especially putting focus on 'communication', the aspect that ranks 1st every year in what troubles foreigners vi...

Currently South Korea steps up effort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with preparing for 2010, which marks 'Visit Korea Year'. The country is especially putting focus on 'communication', the aspect that ranks 1st every year in what troubles foreigners visiting Korea, according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foreign tourists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Actually, the city of Seoul began establishing sign posts inscribed in four languages -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at major tourist spots such as Myengdong and Jongno since March 2009. Inscription of text in foreign languages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to foreign visito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However, most posts seen in some tourist spots to draw tourists from other countries are misprinted or unnaturally inscribed in foreign languages, thus are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ir design. Text in foreign tongues is an intermediary which tourists from abroad encounter most during their visit to Korea. It is necessary for Seoul, a city which is set to be the capital of design, to pay attention to make even tiny design, including inscription of multilingual text, completely serve its features as well as being aesthetic.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inscription of foreign tongues which are us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ultures, and to pursue more attractive, readable and favorably impressing design in multilingual inscription - combined inscription in many languages-. To carry out the study, the writer made an improved pla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d to puranalyzation of form and research on examples and conducted a survey of Koreans, Japanese, Chinese and other foreigners. This provides a guideline on multilingual inscription of textaper prohas been co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tilingstudy was conducted after researchers limited the multilingual text to the case of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and for the multilingual inscription of text must grow since it not only plays a useful role for visitors from abroad but also provides a feature of attracting tourists, thus reconfirms the necessity of the study. It also suggests that non-verbal language is more effective than verbal language as a method of linguistic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it is more efficient to inscribe other languages based on careful concerns of other cultures for communication.
The principle of design for multilingual text presented from the improved plan is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order.
Since the English tex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languages in its visual form, the readability of the whole text increases when the text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case of Japanese text which contains the Chinese alphabet, it is better to insert text of other languages between it and Chinese text. But foreigners who know only English are more likely to read Japanese and Chinese as one paragraph, and their readability differs from whether English comes before or later than other languages. Meanwhile, putting Chinese text below gives stability to the whole design, because it has the highest density.
Second, the principle of alignment.
In alignment, the method of 'flush right' gives the highest readability. However, the method of 'justify' raises attraction when there are only a few sentence lines and sufficient intervals between the rows in the text.
Third, the principle of tone.
Design by using the Bold and Light style in turn can create tone and increase attraction. When inscribing Japanese, the text is more readable if it is written in Hiragana (ひらがな) and Katakana (カタカナ) which are less dense because it would be distinguished from Chinese. It is also effective in raising readability to distinguish the two languages by writing Japanese in Myeongjo style and Chinese in Gothic style.
The writer believes that this study could give help to designers who are now responsible for the tasks of multilingual inscription, and expects that when the method of multilingual inscription is put in order, it will solve dis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who are troubled in communication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ight of Seoul as the capital of design in 2010.

현재 한국에서는 2010년 한국방문의 해를 앞두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관광공사에서 발표한 외래 관광객실태조사에서 매년 불편한 점 1위에 오르는 '언...

현재 한국에서는 2010년 한국방문의 해를 앞두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관광공사에서 발표한 외래 관광객실태조사에서 매년 불편한 점 1위에 오르는 '언어소통'에 대해서 중점을 두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에서는 2009년 3월부터 명동, 종로 등 주요 관광지에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된 안내판을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했다. 외국어 텍스트 표기는 언어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에게 정보 전달이라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관광지에서 볼 수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입간판들은 대부분 오자투성이거나 억지로 붙여진 외국어 텍스트 때문에 디자인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이 많다. 외국어 텍스트는 외래 관광객이 방한 중에 가장 많이 접하는 매체이다. 디자인수도가 될 서울시에서 이제 다국어 텍스트 표기라는 사소한 디자인에도 신경을 쓸 필요, 즉 기능을 충족시키면서도 심미적인 다국어 텍스트 병용 디자인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문화 간 언어소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표기에 중점을 두고 다국어(多國語), 즉 여러 나라 언어 텍스트를 병용(倂用), 병기(倂記)하는 디자인에 있어서 주목도, 판독성, 호감도가 높은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에 있다. 이에 필요한 이론적 고찰과 각 언어의 시각적 형태분석, 사례 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제작하여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그 외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온 지적 사항들을 보완하고 다국어 텍스트 병용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어 텍스트를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4개로 한정하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국어 텍스트 표기는 외래 관광객에게 유용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관광객을 유치하는 기능도 하기 때문에 그 수요는 앞으로도 커질 수밖에 없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 간 언어소통 수단으로서 명료한 전달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말(verbal language)”보다 “문자(non-verbal language)”가 효과적이고, 문화 간 언어소통 수단으로서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대국의 문자를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선안에서 얻을 수 있는 다국어 텍스트의 디자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서의 원리이다.
영문은 다른 언어와 시각적인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전체적인 판독성을 높일 수 있고 한자가 있는 일본어 텍스트의 경우 중국어 텍스트와의 사이에 다른 언어 텍스트를 넣는 것이 좋다. 하지만 영어밖에 모르는 외국인은 일본어와 중국어는 단일패러그래프로 보게 되고 영어가 다른 언어보다 앞에 나오는지, 뒤에 나오는지에 따라 판독성이 달라진다. 그리고 밀도가 제일 높은 중국어를 밑에 두는 것이 디자인 전체에 안정감을 준다.
둘째, 정렬의 원리이다.
정렬(alignment)은 오른쪽흘리기(flush right)가 판독성이 가장 높지만 글줄이 적고 행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가운데맞추기(justify)가 주목도를 높일 수 있고 효과적이다.
셋째, 톤의 원리이다.
Bold체와 Light체를 번갈아 디자인한 것이 톤을 생기게 하고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일본어표시는 중국어와 차별화하기 위해 한자를 자제하고 밀도가 낮은 히라가나(ひらがな)/가타카나(カタカナ)를 사용하는 것이 판독성을 높일 수 있지만, 긴 문장의 경우 오히려 판독성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일본어는 명조체, 중국어는 고딕체로 하여 차별화하는 것이 판독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공간성 원리이다.
여백을 전체면의 1/3~2/3정도 두게 하면 주목도를 높일 수 있고, 공간에 여유가 있으면 각 언어마다 열을 다르게 한다. 공간에 여유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한 줄로 배열해야 되는 경우 구두점(句讀點)은 사선( / )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가 현재 다국어 병용 작업을 해야 되는 상황에 있는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고, 또 다국어 텍스트 표기가 잘 정비된다면 언어소통을 문제시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불만을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10년 디자인수도로 선정된 서울시의 경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