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teaching by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English teachers is gradually becoming prevalent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a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where co-teaching with a Korean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English teach...
Co-teaching by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English teachers is gradually becoming prevalent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a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where co-teaching with a Korean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English teacher was practiced,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ology. Four research questions are as the following:
1. How i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general natures of the co-teaching English classroom?
2. What are the typical features of the co-teaching English class centered on the native English teacher?
3. How do the students feel about learning English in the co-teaching English class centered on the native English teacher?
4. What effects do the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 have on the student's English 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nglish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over sixteen months, using observations, interviews, journals and analyz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of the English classroom but were noisy and obeyed the Korean English teacher rather than native English teacher. The Korean English teacher concentrated the students' attention on the English instruction but did not cooperate with the native English teacher.
Second, the native English teacher used a fixed teaching method and procedure in the English class, interacted with the students through a question and answer approach using textbook and gave different speech chance, feedback by the students' English level.
Third, the students felt free in the English class with the native English teacher but still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English. They were not offered fair chances to speak.
Fourth, students improved their English listening abilities, became motivated and inspired by having a native English teacher teach their English class, but the stress on accuracy reduced their motivation to learn English. The students also gained some misconceptions about foreign culture from the teacher, causing the students to believe the native teacher's personal teaching style to be the general foreign teaching styl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re are four sugges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rder to teach English successfully in elementary school, the native English teacher needs an educational mindset and certified teaching skills that will allow a suitable level of language input for the students' level,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understanding, and student interaction.
Second, two teachers' roles in co-teaching English class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students may need a bilingual teacher who can speak English and Korean, in particular a Korean resident who understands the Korean culture and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Third,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English education, the native English teachers need to be continuously retrained about Korean culture, curriculum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Korean English teachers need well-planed English training programs such as training abroad to expertise in English because the Korean teachers know the Korean students the best.
Last,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the English class needs to change.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rganizing the classes by the students' English level and altering the native English teacher's teaching methods for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are all important in creating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영어는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언어로서 그 위상을 확실히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영어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1995년부터 EPIK(English Program In Korea)으로 불리는 원어민 영...
영어는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언어로서 그 위상을 확실히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영어 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1995년부터 EPIK(English Program In Korea)으로 불리는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초청·활용 사업을 시작하여 많은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들을 일선 학교에 배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어민이 배치된 한 초등학교의 영어 교실을 통해 원어민 교사 중심의 영어 협동수업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원어민 교사의 활용 모습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이 이뤄지는 교실의 환경과 전형적인 협 동수업의 모습은 어떠한가?
둘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을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는가?
넷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이 연구를 위해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원어민 교사 중심의 협동수업을 참관하고 관찰일지를 작성하였으며 학생들의 소감문과 원어민 교사, 한국인 교사, 학생들의 면담 내용을 삼각 검증과 구성원 간 확인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을 하는 교실 환경에 호기심을 가지고 다소 소란하며 원어민 교사보다는 한국인 교사의 말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한국인 교사는 학생들의 수업 분위기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원어민 교사와 협력하는 모습은 많지 않았다.
둘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에서 원어민 교사는 영어 교과서의 내용을 정형화된 방법과 절차로 가르쳤으며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발화 기회와 피드백을 다르게 제공했다.
셋째,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 시간을 한국인 교사의 단독수업에 비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느꼈으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고 영어 발화의 기회를 공평하게 제공받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원어민 교사 중심 협동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과 영어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반면, 완벽한 발화에 대한 부담감은 반대로 영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켰다. 또한 학생들은 수업 중에 경험한 원어민 교사의 개인적 스타일을 확대 해석하여 외국인과 외국 문화에 대한 오개념을 형성할 여지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경험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교육적 자질과 수업 기술을 갖춘 원어민 교사가 투입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언어 입력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자료의 활용이 영어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성공적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높이고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에서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역할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누가 더 주된 역할을 해야 하는지는 학생의 수준에 따라 달라져야 하며 영어와 한국어가 가능한 이중언어 구사자나 교포를 영어 교사로 활용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영어 수업을 위해서는 현장에 투입된 원어민 교사에게 한국의 교육과정과 한국어, 한국 문화에 대해 지속적인 재교육을 실시함은 물론, 장기적으로 한국인 교사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계획성 있는 영어 연수 등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영어 분야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서는 영어 교실의 학생 수를 줄이고 원어민 교사의 활용 또한 학생의 수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야 한다. 현재의 교육 환경에서 수준별 반편성이 어렵다면 한 학급에서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각기 다른 수준의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