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 대조연구 :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적인 관점에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the type and function of repetition and analyzing it in pragmatic and syntactic aspects based on the Korean and Japanese spoken languages.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 contrastive study, the aim is to provide a new...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the type and function of repetition and analyzing it in pragmatic and syntactic aspects based on the Korean and Japanese spoken languages.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 contrastive study, the aim is to provide a new and reasonable method of learning Korean effectively for students of Japanese through repeti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of Japanese. The study of contrastive lingu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has been considerable, but so far the focus has been on various aspects other than a research study on the contrastive repetition of the two languages.
In Chapter 1, various theories on repetition are reviewed, and the research material and transcription are introduced.
In Chapter 2, the general concept of repetition is explained, with the list of conditions of repetition limited by anaphora especially suggested. These conditions of repetition are a logical criterion for the link of similar meanings in utterance.
In Chapter 3, conversational analysis, on which this analysis is based, is explained and attempted. Also, a new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repetition is applied to conversational analysis from three points of view: the speaker and listener, time of utterance, and context.
In Chapter 4, repetition in Japanese is analyzed separately into two approaches based on the syntactic and pragmatic parts. In the syntactic part, repetition is re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orm, position in the sentence, and composition of the sentence, which are analyzed in detail and the functions of which are explained. In the pragmatic part, repetition is redivided into three parts: politeness, information structure, and micropragmatics. The theoretical theory based on each part is reviewed and analyzed equally in the syntactic approach.
In Chapter 5,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4 are studied. Repetition in Korean and Japanese are contrasted and analyzed separately into two approaches based on the syntactic and pragmatic parts. This analysis showed that repetition in the two languages from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shared some things in common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ctual use. It also showed that the contrastive study based on the syntactic approach had some things in common with the form, position in the sentence, and composition of the sentence. On the other hand, the contrastive study of repetition based on the pragmatic approach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context, for example, the criterion in utter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and the function in utterance. There were three concrete differences in the pragmatic approach. Firstly, repetition related to politeness in Korean and Japanese is each performed by different criterion: age disparity or the uchi-soto relationship. This analysis found that repetition of politeness in Korean is performed by the same form of repetition according to age disparity. But repetition of politeness in Japanese is performed by a different form of repetition according to the uchi-soto relationship. This analysis also suggested that a negative face has a relatively important position on repetition in Japanese. Secondly, repetition in information structure is presented in the order of new information-old information or old information-new information, thus showing a different result from preceding researches. Third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back channel presented by repetition related to micropragmatics happens with high frequency, and sentence finals of repetition in Japanese play a relatively diverse function and occur in various forms.
In Chapter 6, this study presents a strategy for learning Korean for students of Japanese through repetition. The usefulness of learning repetition in Korean and Japanese i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trastive analysis with regard to form, honorifics, face, discourse marker and sentence finals, learning strategies through grammatical and pragmatic approaches are provided.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을 통사적 측면과 화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기능을 분석하여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지...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을 통사적 측면과 화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기능을 분석하여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 한국어와 일본어에 대한 대조연구가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두 언어의 대조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반복표현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두 언어의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모어 화자위한 한국어 교육관점에서 효과적인 반복표현의 교수 전략과 학습 방법에 대한 제시도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반복표현에 대한 선행 연구의 논의를 검토한 후, 연구 자료의 유용성과 전사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Ⅱ장에서는 반복표현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소개하고, 조응 현상과 정보의 제한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새로운 반복표현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의미적으로 유사한 발화에 대한 반복표현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논리적 기준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기초가 되는 연구 방법인 대화분석 이론을 살펴보고 ‘화자 교체·발화 시간, 맥락, 발화 지점’의 관점을 반복표현 분석에 적용하여 새로운 대화 분석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일본어 반복표현을 통사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 ‘형태, 문에서의 위치, 문장 성분’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유형을 분류하고 발화문에 나타나는 반복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적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화용적 측면에서는 반복표현을 ‘공손 이론, 정보 구조, 세부 화용론’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유형을 분류하여 각 관련 이론과 반복표현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후에 반복발화에 대한 세부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일본어 반복표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사적, 화용적 양측면에서 한국어와의 대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언어는 반복표현에 있어서 통사적, 화용적 측면에서 유사점이 공존하였으나, 구체적인 반복 현상에 있어서는 다수의 상이점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의 대조는 형태나 문에서의 위치, 문장 성분에 관한 비교적 단순한 대조가 이루어지므로 반복표현 양상이 유사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화용적 측면의 대조는 실제의 언어사용에 관한 문제로 반복표현이 사용되는 기준, 기능,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등 발화가 잠재적으로 포함하는 문맥 모두를 고려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통사적 분석만으로는 찾을 수 없었던 다수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 관련 반복표현의 사용 기준은 각각 ‘상하(上下)’ 관계, ‘우치, 소토(內, 外)’ 관계가 되어, 타자 반복에서 한국어의 경어 반복은 절대 경어의 영향으로 동일 형태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일본어는 ‘우치, 소토(內, 外)’ 관계에 의해 다른 형태로 발화되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적극적 체면보다는 소극적 체면을 중시하는 일본어의 경향이 반복표현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로 정보 구조 관련 반복에서는 반복표현의 정보 흐름이 신정보에서 구정보 순서라는 기존의 牧野(1980)의 이론과는 다르게, ‘의사소통 역량(CD)’에 따라 ‘신정보-구정보’ 또는 ‘신정보-구정보’ 순서가 모두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세부 화용론 관련 반복표현에서는 담화표지와 맞장구 표현이 한국어보다 일본어에서 다수 사용되어 일본어의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종조사 관련 반복표현에서는 일본어 종조사와 한국어 대자경어인 어미 체계를 비교하여 살펴보았고 대조 분석 결과, 일본어 반복표현에서 사용되는 종조사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용례 수도 높게 나타나서 한국어와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Ⅵ장에서는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반복표현을 연구해 보았다. 먼저 두 언어의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사적, 화용적 의사소통 문제를 추측하여 각 측면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해보고 마지막으로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반복표현의 전략과 기능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 대조 분석을 통사적, 화용적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 방법으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기존의 반복표현 연구는 기능 분류와 구정보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고에서는 이전의 논의와는 다르게 반복표현을 통사적 측면의 ‘형태, 문에서의 위치, 문장 성분’, 화용적 측면의 ‘공손 이론, 정보 구조, 세부 화용론’과 같이 반복현상 분석에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하위 범주를 설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반복표현에 대한 교육적 관점의 논의가 없었으므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한, 반복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 내용과 전략과 기능에 관한 연구는 유용한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도 의미를 가질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