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속문 비교 연구 : -‘-고’와 ‘-아서/어서’접속문 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초록> 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속비교 연구 -‘-고’와 ‘-아서/어서접속구성중심으로- 투무르바트 툽싱바이야르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속문 구...

<국문초록>

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속문 비교 연구
-‘-고’와 ‘-아서/어서’ 접속문 구성중심으로-

투무르바트 툽싱바이야르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속문 구성의 의미․통사적 기능을 비교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어의 ‘-고’와 ‘-아서/어서’에 의한 접속문 구성과 몽골어의 연결어미 ‘-j/č’와 ‘-aad⁴’에 의한 접속문 구성의 의미․통사적 차이점과 유사점을 한국어 접속문 구성의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두 언어의 접속문 구성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 한국어와 몽골어 접속문 구성에 대한 개념과 그의 분류에 대해서 다루었다. 2.1에서는 한국어 접속문 구성에 대해, 그리고 2.2에서는 몽골어 접속문 구성에 대해 각각 다루었다.
3장에서는 한국어의 ‘-고’에 의한 접속문 구성에서 나타나는 의미적 기능과 통사적 기능 특성을 기준으로 몽골어의 ‘-j/č’ 접속문 구성이 나타내는 의미와 통사적 기능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3.1에서는 [공간 나열]의 의미로 해석되는 ‘-고’ 접속문 구성을, 3.2에서는 [동시 나열]로 해석되는 ‘-고’ 접속문 구성을, 3.3에서는 ‘-고’ 접속문 구성이 [계기 나열]로 해석되는 경우 나타내는 통사적 기능을 몽골어의 ‘-j/č’에 의한 접속문 구성이 나타내는 의미․통사적 기능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어서 4장에서는 한국어의 ‘-어서/아서’ 접속문 구성과 몽골어의 ‘-aad⁴’ 접속문 구성의 의미․통사적 기능을 비교해 보았다. 4.1에서는 [원인]으로 해석되는 ‘-어서/아서’ 접속문 구성을, 4.2에서는 [계기]로 해석되는 ‘-어서/아서’ 접속문 구성을, 4.3에서는 [동시]로 해석되는 ‘-어서/아서’ 접속문 구성을 다루었는데, 이들을 몽골어의 ‘-aad⁴’ 접속문 구성이 갖는 통사적 기능과 비교하며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connective sentences in Korean and Mongolian. -A special Reference with ‘-go’ and ‘-eoseo/aseo’- Tumurbat Tuvshinbaya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semantic and s...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connective sentences in Korean and Mongolian.
-A special Reference with ‘-go’ and ‘-eoseo/aseo’-

Tumurbat Tuvshinbaya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semantic and syntactic functions of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 in Korean and Mongolian.
The study aims to find ou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Korean connective endings, ‘-go’ and ‘-eoseo/aseo’, and Mongolian connective endings, ‘-j/č’ and ‘-aad’.
First, previous studies on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s in both languages will be examined. The second chapter will deal with the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We will have a close look at Korean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s in 2.1.1, Korean subjunctive sentences in 2.1.2, and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s with  ‘-go’ and ‘-eoseo/aseo’ in 2.1.3. Mongolian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 will be studied in 2.2.1 and Mongolian special compound sentences in 2.2.1. The point made by this chapter is that the way of classification in these two languages have some differences.
Chapter 3 will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by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al features in a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 with ‘-go’ in Korean and ‘-j/č’ in Mongolian.
3.1. will compare connective sentence sturutures with ‘-go’ and ‘-j/č’ with meaning of [space array], 3.2. with meaning of [concurrent array], and 3.3 with meaning of [successive array]. While there are a lot of Using semantic function similarities found in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s by these connective endings, there are special syntactic functions that ‘-go’ can only have in a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
In chapter 4, the semantic and syntactic function of the Korean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 ‘-eoseo/aseo’ and the Mongolian ‘-aad’ will be compared.
The connective sentence structures with ‘-eoseo/aseo’ and '-aad'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the meaning of [successive] in 4.1, [reason] in 4.2, and [concurrent] in 4.3. Here, we can find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Mongolian ‘-aad’ cannot carry the meaning of [concurrent], whereas Korean ‘-eoseo/aseo’ can.




Key words: connective sentence construction, semantic function, syntactic function, connective ending, space array, successive array, reason, concurrent array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