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의 수동문에 관한 연구 : 수동문에 나타난 의식구조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일 양국어의 수동표현은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선 구문론적인 면에서 능동문에 대해 주어가 교체함과 동시에 격조사의 교환현상이 일어나는 점, 그리고 그에 따라 술어동사가 수동화...

한일 양국어의 수동표현은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우선 구문론적인 면에서 능동문에 대해 주어가 교체함과 동시에 격조사의 교환현상이 일어나는 점, 그리고 그에 따라 술어동사가 수동화되어 동사에 수동을 나타내는 형태적인 특징이 있다는 점이다. 동사가 수동화될 때 한국어의 경우는 수동접미사 ‘이, 히, 리, 기’형, 보조동사 ‘지다’형, 그리고 ‘하다’동사에 대치되는 ‘되다’형 등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일본어는 동사의 활용어미에 조동사 ‘れる、られる’를 접속시켜 표현된다.
한국어 표현에서 주류를 이루는 능동문은 기본적으로 행위의 주체자보다도 행위자체에 초점을 맞춘 표현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반면 일본어의 수동문은 행위의 대상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문장형식으로 행위의 대상자가 인간일 경우가 많은데, 그 행위의 결과를 받은 사람의 기분까지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피해수동문’이라고 불리는 일본의 독특한 수동표현 이름인데, 이 수동문의 특징은 타동사가 아닌 자동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한일 양국어 수동문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은 한국어 수동문에는 자동사에 의한 수동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에서는 쓰지 않는 수동표현을 왜 일본어에서는 쓰이는지를 일본인이 갖는 사고방식과 연관시켜서 고찰해 보겠다. 또한 한일 양국어의 언어표현에 보여지는 하나의 특징으로서, 한국어에서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의 관계에 있어서 앞 문장에 어떤 원인을 제시한 후 두 문장 사이에서 주어의 불일치화가 일어나 뒤 문장에서 행위자 중심으로 문장이 전개되기 때문에 능동문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반해 일본어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를 일치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뒤 문장에서는 능동문을 쓰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같은 의미를 지니는 문장이 능동문과 수동문으로 갈라지는 것은 화자의 시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일 양국어 사이에서 이러한 시점의 차이가 왜 생기는지를 밝히기 위해 본고에서는 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양국 문화 양상에 의한 의식구조의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아내려고 시도해 보겠다.
그와 더불어 한국인과 일본인이 쓴 소설을 통해 한일 수동문에 대응한 양국 수동표현의 출현빈도와 대응도 조사를 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일본어 수동문에 대응한 한국어 수동문보다도 한국어 수동문에 대응한 일본어 수동문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한국어보다 일본어에 수동표현이 많이 쓰이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또 시대의 변천에 따라 수동문이 쓰이는 빈도를 조사해 본 결과 한국어에서는 근대에 비해 현대에서는 전통적인 수동 형태인 ‘이, 히, 리, 기’형보다도 한어명사에 ‘되다, 받다, 당하다’ 등을 접속시킨 ‘되다’형이 많이 쓰이게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일본어에서는 근대까지는 피해의식을 나타내는 간접 수동문이 일반적으로 자주 쓰였는데 현대에서는 잘 안 쓴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전반적으로 봐서 한국어에서는 수동문을 쓰는 비율이 늘었고, 반대로 일본어에서는 그 비율이 줄었다고 할 수 있다.

Korean and Japanese passive voices share two common factors. First, in terms of syntax, when the subject of active voice is changed, the postposition is also changed. Second, when an active voice is turned into a passive voice, the form of the verb in...

Korean and Japanese passive voices share two common factors. First, in terms of syntax, when the subject of active voice is changed, the postposition is also changed. Second, when an active voice is turned into a passive voice, the form of the verb in the sentence is changed so that it can express passive voice.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to indicate a passive voice, the verb in the sentence can be changed in three different ways: 1) passive suffix such as '-i, -hi, -ri and -ki' is added to the verb 2) auxiliary verb, '-jida', is added to the verb 3) active verb,'-hada', is changed into '-doida'. In the case of Japanese passive voice, auxiliary verb, 'reru' or 'rareru', is connected to the conjugative ending of the verb.
The active voice, which is used for most Korean sentences, emphasizes the action itself rather than the subject of the action. On the contrary, Japanese passive voice focuses on the object of the action, which is usually human beings. In addition, the passive voice implies the feeling of the object. This unique passive voice is called 'passive voice of damage' and includes an intransitive verb instead of a transitive verb. This is the big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assive voices. In fact, Korean passive voice never includes an intransitive verb.
This thesis aims at finding out why the Japanese use the passive voice which is not used in Korea by relating the reason with the Japanese mindset. In Korea, when a sentence explains certain reason, the next sentence uses an active voice presenting not the subject but the actor in the preceding sentence as a subject. On the contrary, Japan tends to use the same subject in the two adjacent sentences. Therefore, the second sentence must use a passive voice.
Although Korean and Japanese sentences have the same meaning, they use different voices, which indicates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he speakers.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why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To this end, the thesis tri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 mindset caused by the different culture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languag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