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본인 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경험하게 될 문화적인 갈등과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들에게 선행되어야 할 문화 교육을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일본인 이주여성을 대상으...
본 논문은 일본인 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경험하게 될 문화적인 갈등과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들에게 선행되어야 할 문화 교육을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일본인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항목을 선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했다.
2장에서는 일본인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문화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서 일본인 이주여성 100명에게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와 학습 요구 문화가 무엇인지를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로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로는 정신문화가, 학습 요구 문화로는 역사·예술문화가 제일 높게 나왔다.
3장에서는 요구 조사 결과의 분석을 바탕으로 일본인 이주여성을 위한 문화 항목을 각 문화 영역별로 선정하였다. 여기에는 언어문화, 생활문화, 정신문화, 역사·예술문화를 중심으로 그 하위문화 항목으로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구 조사가 높은 순으로 항목을 선정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각 문화 영역에서 학습 필요한 문화와 학습 요구 문화의 항목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 필요한 문화가 현재 일본인 이주여성들에게 제대로 학습되고 있지 않아 학습 요구 문화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선정한 문화 항목을 중심으로 교재를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과 체험 활동을 통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를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은 기존에 있는 이주여성용 한국어 초급 교재를 통해 제시하였고, 체험 활동을 통한 문화 교육 방안은 프로젝트 수업 방법을 채택하여 학습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신문화 중 인간관계 방법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단순한 체험 활동을 넘어서 직접 계획한 것을 체험, 발표, 공유함으로써 일본인 이주여성이 스스로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한국 생활에 자신감을 심어주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인 이주여성들의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한 문화 항목 선정 및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을 통해서 앞으로 일본인 이주여성들을 위한 문화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일본인 이주여성들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 사회에 빨리 적응해 나갈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s for cultural education to be preceded for migrant Japanese women in a bid to minimize the cultual conflict and shock, they might face in Korea as well as is ultimately aimed at selecting the subjects of Korean culture for migrant Japanese...
The study is for cultural education to be preceded for migrant Japanese women in a bid to minimize the cultual conflict and shock, they might face in Korea as well as is ultimately aimed at selecting the subjects of Korean culture for migrant Japanese women, thereby proposing the measures for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2, the survey of 100 migrant Japanese women, questioning them on the culture which they thought would be necessary to adapt themselves to the living in Korean environment and the culture they wish to learn, was conducted to select the education subjects. As a result, the culture which they believed would be necessary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 in Korea was the moral culture, while the culture they wished to learn was the history and art culture.
In Chapter 3, based on analysis of the survey, the subjects of the culture for migrant Japanese women were selected by cultural area, and consequently, the sub-items mostly in the area of language culture, living culture, moral culture, history and art culture were put at the top of the list. Viewing the outcome of the survey, the culture necessary and the culture which they wished to learn appeared to be quite similar with each other, which wa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culture necessary has not been appropriately taught to the migrant Japanese women and therefore was represented as the subject they wished to learn.
In Chapter 4, for the cultures selected, the culture education measure using the teaching material and through the experimental activities were presented. the existing beginner's course of Korean language for migrant women was suggested as the method using the teaching material, and for the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al activities, the project lesson method focusing on human relations among the moral culture, which was considered to be necessary, was proposed. This was designed to experience, present and share what they planned themselves, beyond simple experimental activities, so as to encourage them to be confident in the living in Korea, making them to be self-dependent.
The study was intended to select the cultual subjects and propose the culture education measures for the migrant Japanese women to adapt themselves to the living in Korea, and hopefully, it will help effectively perform the cultural education for the migrant Japanese women, thereby making commitment for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 Korean society and to adapt themselves shortly to the new environment he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