終助詞「ね」와「よ」에 대하여 : 한국어 文末 형태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 of this study is considering an exact meaning and use of Japanese ending auxiliary ; 「ね」(ne) and 「よ」(yo) which is one of the typical forms presenting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in communication and clarifying the sameness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considering an exact meaning and use of Japanese ending auxiliary ; 「ね」(ne) and 「よ」(yo) which is one of the typical forms presenting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in communication and clarifying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rough comparing it with Korean translation version.
Previous studies on Japanese ending auxiliary are divided in study of national language and linguistics by the concept of treating it. In early date of study the scholars who study national language were interested in the stating side of the end of sentences and the function in sentence structure related in accomplishing sentences. But since then studies on Jepanese ending auxiliary in the name of modarity and information province theory were various, so it was spreading to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Basically 「ne」is located in the end of the sentence. It is usually used when the speakers request verification and agreement of the listeners.
On the other hand 「yo」are used when the speakers have more information about the topic of conversation. It is mainly used when the speakers want listeners to know about what they say.
As mentioned above 「ne」and 「yo」are systematically in an opposition structure. They are used in all sorts of sentence. And 「ne」is not used with an imperative and inhibitive verb. That's a distinct feature that 「ne」is different from 「yo」.
In comparison with the end form of sentence in Korean, I collected 500 uses of 「ne」and 「yo」in Japanese literary works translated in Korean each and researched how they are translated. Through this survey I indicated that 「ne」and 「yo」have a clear distinction but the end form of Korean sentence is used in both 「ne」and 「yo」And I raised the point that Korean who are studying Japanese have a problem because There's no end form of Korean sentence which properly translate Japanese ending auxiliary.
I also investigated the meaning function of 「-요」(-yo) mainly translated into 「ne」and 「yo」. Korean 「yo」and Japanese ending auxiliary are used in a similar sentence formation. They both are end of the perfect sentences and middle of the sentences and end of the ending of the word and a propositional word. But in terms of meaning function Japanese ending auxiliary do function showing psychological rela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 whereas Korean word 「-yo」is used to respect the listeners. So the both things are grammar elements that differently function in sentences.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전달과 관련된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전형적 형식의 하나인 일본어 종조사 「ね」와 「よ」의 정확한 의미와 용법을 고찰하고, 한국文末 형태와의...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전달과 관련된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전형적 형식의 하나인 일본어 종조사 「ね」와 「よ」의 정확한 의미와 용법을 고찰하고, 한국文末 형태와의 대조를 통해 韓·日 양 언어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백히 하고자 한다.
종조사에 대한 선행연구는 종조사를 어떤 관점에서 취급하느냐에 따라 크게 일본의 國語學上의 연구와 言語學上의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초기 國語學者들의 종조사 연구는 文의 성립과 관련하여 文末의 진술적 측면이나 구문적 기능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ね」와 「よ」의 용법의 차이나 그 특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이루어진 모달리티론적 입장에서의 연구나 정보영역이론적 입장에서의 「ね」와 「よ」에 관한 연구는 발화내용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 태도에 대해서까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본적으로 「ね」는 문장 終止의 문절 끝에 접속하며 화자의 지식·정보를 청자에게 공유화해 가는 쪽에 비중이 있어 화자의 발화에 의해 청자에게 확인 또는 동의가 요구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よ」는 해당 정보가 청자보다 화자에게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화자는 이미 인식하고 있지만 청자가 아직 인식하지 못한 정보에 대해 청자가 그 정보를 습득할 필요가 있다고 화자가 생각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종조사이다. 이처럼 兩者 대립의 구조 속에서 체계적인 파악이 가능한 「ね」와 「よ」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 등의 文에 골고루 출현하여 다양한 사용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ね」가 동사의 명령형과 금지형 및 그에 준하는 보통체형과 共起할 수 없는 점은 「ね」가 「よ」와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임을 알 수 있다.
한국어 문말 형태와의 대조에서는 한국어로 번역 된 일본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ね」·「よ」의 용례를 각각 500개씩 채집하여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문말 형태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 기능이 확연히 구분되어 있는 「ね」·「よ」와는 달리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文末 형태가 분명한 체계를 갖지 못하고 「ね」·「よ」의 양쪽에 동시에 대응되고 있다는 점, 「ね」와 「よ」 모두 한국어에 대응하는 특정 文末 형태가 없는 「Ø」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들의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ね」와 「よ」의 한국어 번역에 빈번히 나타나는 ‘-요’의 의미 기능을 살펴 본 결과, 「ね」·「よ」와 한국어 ‘-요’에 선행하는 형식은 완결된 문장 뒤, 접속 어미나 접속 조사로 끝나는 문장의 뒤, 문장 중간으로 그 출현 환경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미 기능에서 보면, 「ね」·「よ」가 화자와 청자 사이의 심리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데 비하여, ‘-요’는 청자 존대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兩者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문법요소임이 밝혀졌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