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민족의 역사를 배우는 것은 민족의 뿌리를 찾고 근간을 아는 것이며,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바라보고 미래를 예측함으로써 앞으로의 민족적 과제를 찾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한국...
현재 우리가 민족의 역사를 배우는 것은 민족의 뿌리를 찾고 근간을 아는 것이며,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바라보고 미래를 예측함으로써 앞으로의 민족적 과제를 찾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에 있어서도 언어의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언어의 뿌리를 찾고 근간을 아는 것이며, 한국인으로서 우리 언어에 대한 자긍심을 키우는 것이라 하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전국어의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국어변화를 살펴보고, 국어 교과서에서 중세국어 교육의 문제와 근대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제7차 국어교육 과정과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지적하고 개선 방안도 함께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 고전국어 영역을 파악하여 그와 관련된 국어과 교육의 성격과 교육 과정의 목표 및 내용 체계 및 구성을 검토하고, 7차 교육과정의 고전국어 영역의 특징을 살핌으로써, 현행 교과서의 고전국어를 분석하는 데 토대를 마련하고 현행 교과서(제7차 교육과정)의 고전국어를 중세국어 교육과 근대국어 교육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문제점 분석하였다. 현행 교과서에서 고전국어의 변화 및 특징을 직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단원은 유일하게 국어(하)1.‘국어가 걸어온 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학습함에 있어서 국어 변화에 관해 효율적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국어 변화 과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중세국어와 고전국어의 학습에 있어 이러한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와 부합되는 ‘학습자의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 향상의 중시’에 초점을 맞춘 나머지 ‘학습활동’의 비중이 강화되어, 정작 필요한 고전국어에 대한 필요한 지식은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Ⅲ 장에서는 현행 고전국어 교과서 개선 방안을 국어사 지식의 재구성과 고전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보조 자료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우선 국어의 변화를 정확히 알기 위한 방법으로 국어의 변화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음운, 문법, 어휘, 표기상의 특징으로 구분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고전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학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국어 지식 정보를 부연함으로써 고전국어의 지식적인 측면의 학습을 강화하도록 꾀하였다. 그리고 고전국어 변화의 정확한 고찰을 위하여 국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17세기 작품을 함께 학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고전국어의 흐름, 즉 중세국어 15-16세기, 근대국어 17-19세기까지의 국어의 변화를 원활히 알 수 있게 될 것이며, 국어 변화의 흐름이 단순히 중세와 근대의 기준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각 시기별로 국어의 흐름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보조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고전국어 지식을 탐구할 수 있도록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교수 ?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전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단원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거기에 바탕을 둔 교육 방법과 교과서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만 우리가 바라는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육 과정이나 교과서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효율적인 고전국어 교육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교육 과정 상에 고전국어 영역의 확고한 위상 정립과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교과서의 편찬이 동시에 이루어져야만 제대로 된 고전국어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t present, learning our history is the same as finding and knowing the origin of our own nation, so it shows us what we need to do now and in the future through considering our past carefully. In this sense, learn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l...
At present, learning our history is the same as finding and knowing the origin of our own nation, so it shows us what we need to do now and in the future through considering our past carefully. In this sense, learn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lso helps us not only know the origin of Korean language and its foundation, but also heighten our pride for our language as a Korea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history course for classical Korean language are going to be looked over. Moreover, the problems of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onsidered and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cusing on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from its textbook.
In the second chapter, there are two main points to discuss. One is how to make the foundation of analysing classical Korean language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 book used in the 7th education course. The other is analysing sev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blems on classical Korean language in the two perspectives: from the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exists only one chapter called 'the Way That Korean Language has Follow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 Ⅱ for students to study about the changes and features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in the current text book.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study about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it needs a clear standard on the course of Korean language changing to study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is no the clear standard for both the middle and classical Korean language learning. It strengthens learning activities, but it limits to provide necessary knowledge for classical Korean language, because it is focused on improving abilities to learner's creative usage for Korean language that fits for 7th education course, it strengthens learning activities.
The third chapter in this study presents the ways to improve the current classical Korean language text book in order to learn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effectively and reorganize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Above all,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can be understood by the clear criteria of the language classifications: phoneme, grammar, vocabulary and marking features. As the result of it, students can learn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more effectively, and learning more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can be strengthened by adding the new information that is not presented in the textbook. Furthermore, how to study the 17C works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 is mentio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Therefore, through these factors,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learn the changes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which is during the 15C~16C, the middle Korean language period, and the 17C~19C,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Also, students can notice that the change of Korean language is not clearly divided into the middle and modern, but the change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ge. In addition, the teaching-leaning method of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language is presented in this chapter to help students study the knowledge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by themselves.
In the learning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and the learning method and textbook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connected each other very closely to help what we wish to study come true. That is to say, the harmony between an education curriculum and a textbook have to be accomplished for the effective class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classical Korean language needs to establish its own valu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s logical and systematical textbook needs to be published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in the classic Korean language properly.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