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공간명사 '속/안' 과 '裏/内' 의 의미 대조 연구 : 말뭉치 결합 관계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어에서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유의어의 쌍인 ‘속’과 ‘안’이 있다. 두 어휘가 사전 의미 기술로만 그 차이를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중국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을 나타...

한국어에서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유의어의 쌍인 ‘속’과 ‘안’이 있다. 두 어휘가 사전 의미 기술로만 그 차이를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중국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을 나타내는 유의어로 '裏‘와 '内’가 있다. 한국어의 '안/속'과 중국어의 '裏/内' 는 일대일 대응관계를 이루지 못해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일정한 어려움을 주게 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간 개념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보면 공간 관계에 지각하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논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어휘가 쓰인 환경에 초점을 둔 구성요소들과의 결합관계에 의해 접근한 논문이 많지 않다. 공간 개념어 전체를 대상으로연구들이 많은데 '속'과 '안'의 비교연구는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다. 그리고 한·중 공간 개념어의 비교연구들도 적은 편이고 기존 한·중 공간 개념어의 비교연구들은 거의 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논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말뭉치를 통해 유의어인 한국어 내부 공간 명사 '속'과 '안', 그리고 유의어인 중국어 내부 공간 명사 '裏‘와 ’内'를 대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하나의 목적은 말뭉결합관계 분석을 통해 ‘속’과 ‘안’이 문장에서 쓰인 환경을 중심으로 ‘속’과 ‘안’의 의미 차이와 용법을 밝히고자 한다. 또 하나의 목적은 ‘속’과 ‘안’이 중국어에서의 대응양상을 찾아내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과 '안' 유의어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산전의미 분석과 말뭉치 결합관계 분석을 통해 한국어 내부 공간 명사 ‘안’과 ‘속’의 의미를 비교했다. 말뭉치 결합관계에 있어서는 ‘속’과 ‘안’의 말뭉치 선행요소가 크게 ‘명사, 관용어류, 없음’ 3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예문). 명사류는 다시 구체명사, 추상명사, 장소명사, 기상/광선 명사, 사람명사, 시간/수량 명사, 단체 명사 등으로 세분화 하였다.
3장에서는 산전의미 분석과 말뭉치 결합관계 분석을 통해 중국어 내부 공간 명사 ‘裏’와 ‘内'의 의미를 비교했다. 말뭉치 결합관계에 있어서는 ‘裏’와 ‘内’의 말뭉치 선행요소가 크게 ‘명사, 형용사, 개사’ 3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4장에서는 '속'과 '안'은 중국어에서의 대응양상을 찾아냈다. 한국어 문장에서 ‘속’과 ‘안’의 쓰임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선행요소가 있는 경우, 다른 하나는 선행요소가 없는 경우, 즉 ‘안/속’이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쓰인 경우이다. 선행요소가 있는 경우 다시 선행요소의 의미특징에 따라 <공간, 범위, 상황, 시간, 추상개념, 기상, 단체>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했다.
제5장에서는 도입→제시․설명→연습→활용→마무리 5단계로 수업을 구성하여 유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중급 단계의 유의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문제점은 시간제한 때문에 말뭉치 자료를 각 1000개 밖에 분석하지 못하고 선행요소만 분석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교육 방안을 제시할 때 ‘속’과 ‘안’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좀 더 나아가서 다른 비슷한 유의어에 대해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꾸준히 말뭉치 자료를 활용한 한중 공간 명사를 대조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

.‘속’and ‘안’ are two synonyms which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internal space in Korean;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the delicate shades of meaning between these two words merely relying on the dictionary mea...

.‘속’and ‘안’ are two synonyms which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internal space in Korean;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the delicate shades of meaning between these two words merely relying on the dictionary meaning description. Meanwhile, there also exists a pair of synonyms ‘里’and ‘内’ in Chinese, which represent the same internal space meaning as the Korean ones; nevertheless, these two pairs of synonyms are no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hich may bring some difficultie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is learning Korean.
I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lexical contrastive analysis of the internal nouns of local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most studies focus on the cognitive linguistics of the vocabulary while only few combined with the Linguistic circumstance; there are studies take the whole noun of locality as the research object while there are not many compared the objects 속’and ‘안’. In addition,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nouns of local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and most of them investigate this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On top of these reasons, this will focus on the combination of corpuses, to make a contrastiv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Chinese nouns of locality ‘里’and ‘内’ and the Korean nouns of locality ‘속’and ‘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o research the shades of meaning and the usage in the given context by analyzing the combination of corpuses in certain sentences in their Linguistic circumstances; secondly, to find out the aspect of confrontation of the Korean words ‘속’and ‘안’ in Chinese by contrastive analysis, and to propose an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on how to learn the words ‘속’and ‘안’.
In the second chapter, a contrastive analysis on the Korean internal nouns of locality ‘속’ and ‘안' has been made through the combination of both dictionary meaning-analysis and corpus combination analysis. In the corpus ‘속’ and ‘안’, the precedence element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oun, adnominal phrase and absence. And among these three categories, noun can b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concrete noun, abstract noun, place, weather, human, time/quantity and colony for better analysis.
In the third chapter, a contrastive analysis on the Korean internal nouns of locality ‘里’ and ‘内’ has been made through the combination of both dictionary meaning-analysis and corpus combination analysis. In the corpus ‘里’ and ‘内’ the precedence element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oun, adjective and prepositions.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aspect of confrontation of Korean ‘속’ and ‘안’ in Chinese, that in Korean sentences, the usages of ‘속’ and ‘안’ can be divided in to two main forms. One is the sentences with precedence elements and another is the ones without it in which ‘속’ and ‘안’ are used independently. The form with precedence element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pace, range, situation, time, semantical characteristics, weather, colony” according to the seman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and be analysed.
In the fifth chapter, the author designs the education plan according to five stages, namely “introduction, explanation, practice, application and conclusion”. The chapter displays the practical and available education plan of ‘속’ and ‘안’ aiming at Chinese students in the spot of education.
The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are that, due to the lack of time, the corpus is as limited as only 1000 for each word. And there were only education plans to ‘속’ and ‘안’ when designing, and failed to expand them to the education of other near-synonym localizers. Finally, I hope there will be mor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contrastive studies based on corpus analysis on localizers in Chinese and Korean.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