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영어 이동동사의 대조 분석 : 한국어 'V-어 가다/오다' 형태 합성동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utilized in vocabulary education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locomotion verbs, ‘Kada/Oda’ and compound verbs using ‘Kada/O...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utilized in vocabulary education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locomotion verbs, ‘Kada/Oda’ and compound verbs using ‘Kada/Oda’ and their English equivalents.For this study, compound verbs using ‘Kada/Oda’ are selected from Basic Verbs for Korean Learning and are classified. And then contrastive patterns between compound verbs in the form of ‘V-eo-Kada/Oda’ and English counterparts are presented and analyzed. This analysis is based on concordance extracted from English-Korean parallel corpus.Chapter 1 discu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provides a review of prior studies on motion verbs in Korean and English with a focus on ‘Kada/Oda’ and ‘come/go’.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s and the use of parallel corpus and briefly introduces existing theories about deixis related to ‘Kada/Oda’ and ‘come/go’, and lexicalization patterns of motion verbs in Korean and English in academic literature.Chapter 3 describes how to build English-Korean parallel corpus used for this study and classifies Korean compound verbs using ‘Kada/Oda’, which are dealt with in this study, into 8 type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onstructions of two verbs, semantic relations between two verbs and the meaning of preceding verbs.In chapter 4, firstly, various correspondences of Korean ‘Kada/Oda’ and English ‘come/go’ are presented based on concordances from English-Korean parallel corpus. And Korean compound verbs using ‘Kada/Oda’ and their equivalents are compared according to the 8 types represented in previous chapter 3.Chapter 5 deals with extended meanings of locomotion verbs, especially ‘Kada/Oda’ and ‘come/go’, in Korean and English in three domains such as abstract space, time and change of states.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whole study, presents limit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이 연구는 한국어 이동동사가다/오다’와 이를 후행동사로 하는 ‘V-어 가다/오다형태 합성동사들의 영어 대응 양상을 대조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를 영어한국어 학습자...

이 연구는 한국어 이동동사 ‘가다/오다’와 이를 후행동사로 하는 ‘V-어 가다/오다’ 형태 합성동사들의 영어 대응 양상을 대조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한국어에서 이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V-어 가다/오다’ 형태 합성동사들은 그 수가 많고 유형도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기본 어휘에 속하는 ‘V-어 가다/오다’ 형태 합성동사들을 선정하여 선행동사와 후행동사의 형태 · 의미적 결합 양상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영어의 대응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영어와 한국어를 대상으로 구축한 병렬 말뭉치의 용례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고, ‘가다/오다’와 ‘come/go’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 이동동사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2장에서는 병렬 말뭉치의 개념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정리하고, ‘가다/오다’와 ‘come/go’의 지시적 의미와 한국어와 영어 이동동사의 어휘화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3장에서는 대조 분석 연구의 자료로 활용한 영한 병렬 말뭉치의 구축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V-어 가다/오다’ 형태 합성동사들을 동사 결합형태, 의미결합관계, 선행동사의 의미를 기준으로 모두 8가지 유형으로 분류, 제시하였다.4장에서는 병렬 말뭉치의 용례를 바탕으로 한국어 ‘가다/오다’와 영어 ‘come/go’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V-어 가다/오다’ 합성동사와 영어와의 대응 양상을 3장에서 분류한 합성동사의 유형별로 대조 분석하였다.5장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이동동사의 의미 확장을 ‘가다/오다’와 ‘come/go'를 중심으로 하여 추상적 공간, 시간의 이동, 상태의 변화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살펴보았다.마지막 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활용 방안과 한계점 및 앞으로의 남은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활용도 분석

View

Usage

Shar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