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언어 교수와 학습 분야에서 글쓰기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글쓰기 교육이 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유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초등 영어 교...
최근의 언어 교수와 학습 분야에서 글쓰기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글쓰기 교육이 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유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초등 영어 교육 분야에서도 일부 학자나 교사들은 영어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자연히 글쓰기 능력의 평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미흡하여 아동이 초등학교를 마칠 무렵에 어느 정도의 영어 글쓰기 능력을 습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초등학교 아동이 성취한 영어 글쓰기 능력을 밝히는 것은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영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영어 글쓰기 능력의 평가는 2008년 2월에 실시되었으며, 평가 대상자는 함양군 H 초등학교와 J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으로 구성되었다. 평가 문항의 내용은 Grabe와 Kaplan(1996), Douglas(2000)의 연구에 기초한 아동 학습자의 글쓰기에 필요한 지식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글쓰기 능력의 성취 기준에 기초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도구로서 통제 글쓰기, 유도 글쓰기, 자유 글쓰기의 세 유형을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실제적인 평가는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이전 평가와 본 평가로 나누어 두 차례 시행되었다. 평가 결과의 분석은 SPSS 1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 크루스칼-왈리스 검증(Kruscal-Wallis Test), 윌콕슨 검증(Wilcoxon 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아동의 평균 점수가 통제 글쓰기에서는 58.05점, 유도 글쓰기는 54.42점, 자유 글쓰기에서는 48.65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아동의 영어 글쓰기 능력이 상당히 낮음을 뜻한다.
둘째, 성적 수준별 평균 점수가 통제 글쓰기에서 상위 90.70점, 중위 62.15점, 하위 17.20점으로 상당히 큰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사한 정도의 차이가 유도와 자유 글쓰기 평가 내에서도 유지되었다.
셋째, 개별 아동 학습자에 따라 영어 글쓰기의 성취 정도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의 평가에서 최고점을 받은 아동의 평균 점수는 통제 글쓰기에서 94점, 유도 글쓰기 83점, 자유 글쓰기 100점이었으나, 최소점은 각각 2점, 0점, 0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별 평가 문항에 따른 글쓰기 능력의 성취에서 대부분의 아동이(82%) 단어를 베껴 쓸 수 있고, 다수의 아동이(60.62%) 단어를 받아 적을 수 있거나 친숙한 그림을 보고 단어를 쓸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아동만이(38.20%) 한국어 문장을 보고 영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아동 학습자의 영어 글쓰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이해하려면 다면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시골 지역 아동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영어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