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 몽골 초등ㆍ중등 학생의 한국어 및 영어불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정의적 영역의 중 주로 방해적 요소로 작용하는 언어불안이 성인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할 것으로 보고 재한 몽골 초ㆍ중...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정의적 영역의 중 주로 방해적 요소로 작용하는 언어불안이 성인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할 것으로 보고 재한 몽골 초ㆍ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어 교실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를 사용하여 한국어불안과 영어불안을 측정하여 이들의 언어불안 양상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언어불안의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둘째, 학업 성취도와 언어불안은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FLCAS 문항별 언어불안 정도가 성별, 학교, 학습기간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한국어불안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불안에 대한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남녀 집단간, 초ㆍ중등 학년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간에 따른 한국어불안은 12개월 이하일 때 가장 불안도가 높게 나타나, 학습 초기에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한국어불안은 학습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한국어 학업성취도와 한국어불안은 여학생, 초등학교, 학습기간이 12개월 이하인 경우에 부적 상관을 보여 한국어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 한국어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불안이 높을수록 영어불안이 높아 외국어 불안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국어불안과 영어불안 모두에서 가장 불안 수치가 높았던 5문항 중 3문항이 같은 문항으로, 학습자들이 두 외국어 수업에서 비슷한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그 내용으로는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에 대한 걱정, 한국사람이 주변이 있을때 편안하지 못함, 한국말로 대화하는 것에 심리적 부담을 느낌 등이 있다. 또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가장 불안을 많이 느끼는 상황이 거의 동일하여 초등학교때 느꼈던 불안적 요인들이 중학교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이하의 학습자에게는 학습자가 예상하지 못하거나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런 교사의 질문에 한국말로 대답해야 하는 상황에 높은 불안을 보였으며, 그 이상의 학습기간에서는 한국어 수업을 못 따라갈까봐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언어불안이 초ㆍ중등학생에게도 방해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지속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결국 언어불안은 학습자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거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극복되기 보다는 외국어 학습을 지속적으로 방해한다고 볼 때,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은 교사의 몫이라 하겠다. 즉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가 언어불안을 인지하고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적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면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sidering that language anxiety working mainly as an interfering factor among other affective factor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on adults but also on other learners at every range of age, this study tries to inv...

Considering that language anxiety working mainly as an interfering factor among other affective factor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on adults but also on other learners at every range of ag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language anxiety among Mongoli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Korea by measuring their anxiety of Korean and English using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FLCAS). For this purpose,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I have investigated what aspects of language anxiety appear in accordance with learner variables. Second, I have examine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language anxiety. Lastly, I have investigated what aspects the degree of language anxiety of each question in the FLCAS shows in accordance with genders, schools, and learning periods. Concentrated on anxiety of Kor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re appear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enders and grades in anxiety of Korean, it has appear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grad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s for anxiety of Korean with respect to learning periods, from the fact that learn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in less than 13 months showed the highest anxiety, we can learn that learners feel anxiety most frequently in earlier period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ey showed tendency toward anxiety reduction as the learning period increased. Second, as academic performances for Korean and anxiety of Korea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among female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and students with learning experiences in less than 13 months, it has appeared that the lower one's academic performance for Korean, the higher anxiety of Korean. Also, there seems to be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nxieties of foreign languages because the higher one's anxiety of Korean, the higher his/her anxiety of English. Third, given that the anxiety of Korean and that of English shared the 3 same question items among their respective 5 questions with the highest anxiety rates, learners seem to have felt anxious in similar situations in the two foreign language classes. The contents of their anxiety include their concern about being unable to keep up with classes, their discomfort with some Koreans around them, psychological burden about conversation in Korean. Also, considering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almost the same situations where they found themselves most anxious, it has appeared that those anxiety factors they had in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remain the same in their middle school years. Those learn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in less than 13 month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nxiety against such situations where they should answer the teacher's abrupt questions in Korean while they didn't expect such questions and were not ready for answers, while those who had learning experiences in more that 12 months were afraid that they might not keep up with Korean language classes. The results so far suggest that language anxiety works interfering factor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all, considering that language anxiety constantly interfere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rather than being resolved by learners themselves or being naturally overcome over time, it is the role of teachers to provide environments in which learns obviate and overcome such anxiety. That is to say, if teachers of Korean classes, with the recognition of language anxiety, try to improve situations in which students feel anxious, it will help the students constantly engag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