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mar is valued as basic knowledge of a language function, and should be taught by all means to cultivate communicative fluency and accuracy. Recently,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s well as school grammar is flourishing in its quality and quantity ...
Grammar is valued as basic knowledge of a language function, and should be taught by all means to cultivate communicative fluency and accuracy. Recently,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s well as school grammar is flourishing in its quality and quantity due to the recognized importance of teaching grammar. Above all,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dvanced further afte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ublishe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for Foreigners』in October, 2005. Since the needs for standard grammar which consolidates all the system, terms, and descriptive styles in the Korean language grammar have been discusse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book was published.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Grammar for Foreigners』has many similarities to school grammar tha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grammar book, it has a problem because it takes a peculiar way in its terms and systems which are quite distinctive from school grammar.
It has been naturally accepted that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re accounted by different terms and styles since they focus on different objects, goal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However, they should aim at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identical terms and systems, now that they both describe the Korean language in a prescriptive, practical view while focusing on the specific object, 'education'. Especially, it is problematic that the Korean language grammar is noticed as grammar for foreigners only and grammatical transformations are justified on the pretext of taking the learners into account. We should make sure that the Korean language grammar targets on the native Korean teachers as well as foreign learners, and that the student-centeredness is related to the dim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ot to that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begins with demonstrating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rammar that consolidates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nd aims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o suggest standard grammar. Chapter Ⅱ reviews the relative status of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advocates the need for developing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their objects, goal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in addi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hapter Ⅲ compares the gap between today's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based on the high school 『Grammar』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for Foreigners 1』 to find a direction for standard grammar.
Finally, Chapter Ⅳ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grammar and presents its content system. Furthermore, it suggests various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that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should adopt for effective educatio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grammar has produced excellent achievements out of the world for the past one and half centuries. Now, school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grammar must meet the efficiency considering learners, and at the same time, the educational norms for the proper transmission of the Korean language grammar knowledge. To accomplish these goals while observing their grammar content system and terms, they should not only select, organize the appropriate content items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levels, but als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문법은 언어 기능의 기반적 지식으로서 가치를 지니며, 의사소통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위해서 반드시 교육되어야 한다. 최근 이러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학교문법뿐만 아니...
문법은 언어 기능의 기반적 지식으로서 가치를 지니며, 의사소통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위해서 반드시 교육되어야 한다. 최근 이러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학교문법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문법은 질적·양적으로 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5년 10월에는 국립국어원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이 출간되면서, 한국어교육문법은 또 한 번의 발전을 보였다. 그간 한국어교육문법에서 체계, 용어, 기술 방식을 통일한 표준 문법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논의들이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어교육문법의 표준 문법서가 탄생한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이 기존의 한국어 교육 문법서에 비해 학교문법과의 공통분모를 많이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용어와 체계 등에서 학교문법과는 다른 독자적인 방식을 택하고 있어 문제가 된다.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은 대상과 목표뿐 아니라, 발전과정에서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동안 이들이 다른 용어와 체계로 기술되는 것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은 동일한 용어와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화를 지향해야 한다.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은 공히 ‘교육’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두고, ‘한국어’를 규범적이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기술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어교육문법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외국어로서의 문법으로만 인식되고,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한다는 명목 하에 문법적 변용을 정당화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다. 한국어교육문법은 외국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모국어 화자인 교사를 또한 대상으로 하며, 학습자 중심이란 교육 내용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적 차원의 문제라는 사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을 아우르는 표준 문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의 차이를 살피고, 표준 문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의 상대적인 위상을 검토하고, 두 교육문법의 대상 및 목표, 발전과정, 교수·학습 방법을 비교하여, 표준 문법의 필요성과 더불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현행 학교문법과 한국어 교육문법의 차이점을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와 국립국어원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을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여, 표준 문법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표준 문법의 성격을 규정하고 표준 문법의 내용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지향해야 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 개발의 방안도 제안하였다.
한국의 문법 연구는 지난 1세기 반에 걸쳐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손색없는 우수한 업적을 많이 쌓아왔다. 이제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은 공히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의 효율성과 올바른 한국어 문법 지식의 전달이라는 교육의 규범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은 표준 문법의 내용 체계와 용어 등을 따르되, 표준 문법의 내용 중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내용 요소를 각각 선정하고 구성하여 다양한 교재를 개발할 뿐 아니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활용에도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