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관용어의 표현 양상과 내포 문화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의 표현 양상을 밝히고 관용어에 내포문화적 의미를 탐구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과 대만의 문화적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의 표현 양상을 밝히고 관용어에 내포된 문화적 의미를 탐구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과 대만의 문화적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및 한국과 대만의 관용어에 대한 개념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관용어와 관용 표현의 차이점을 제시하고 본 논문에서 지칭하는 관용어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유형의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를 제시함으로써 종합적으로 관용어의 정의를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관용어가 지닌 특성을 도출해 보았다.
3장에서는 관용어 생성 요인의 분석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재정리하여 새롭게 분류하였다.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의 생성 요인을 크게 언어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했다.
4장에서는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의 표현 양상을 탐구해 보았다. 이는 (1) 어법 구조의 사용 양상, (2) 소재 분류의 사용 양상 두 분야로 나눈다.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는 어법 구조에서 모두 목적어와 서술어(혹은 서술어와 목적어)가 결합된 형태가 제일 많다. 한국어 관용어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형태가 주술형(주어와 서술어)이며 부술형(부사어와 서술어의 결합 형태)은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된다. 반면 중국어 관용어에는 명사와 명사의 결합 형태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주술형은 세 번째의 자리를 차지한다. 또한 한국어 관용어에는 서술어와 의성․의태어가 결합된 형태가 없고 중국어 관용어에는 독립된 부사형 관용어가 없다.
소재의 사용에서, 두 나라의 관용어는 모두 신체기관과 관련된 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어서 한국어 관용어는 생활용품과 의식주와 관련된 소재가 각각 2위, 3위로 많이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어 관용어는 의식주와 동식물이 관련된 소재가 각각 2위, 3위로 나타나고 있다. 비록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의 사용 소재가 유사하지만 신체 관련 기관에서 한국어 관용어는 중국어 관용어보다 더욱더 다양하고 세분화, 구체화 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비해 중국어 관용어는 보통 어떤 신체 부위의 전체 명칭으로 사용되며 비교적 단순하고 개괄적이다.
5장에서는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에 내포된 문화를 비교해 보았다. 먼저 관용어에 내포된 문화적 의미에 접근하여 관용어의 보기를 통해 한국과 대만의 문화적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하는 한국과 대만은 문화적으로 어느 정도의 유사성이 있으면서도 사고방식이나 가치관, 사물에 대한 인식 등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관용어는 성취 문화보다 일상생활 문화의 양상을 더욱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용어와 그것이 내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연관시켜 해당 나라의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을 시행하면 더욱더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다. 해당 나라의 문화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언어의 오류가 쉽게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6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 장의 요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고, 그 외 언어와 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관용어 활용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앞으로 관용어에 대한 연구들이 더욱더 폭넓은 차원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expressional pattern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to treat the cultural meanings on the inside of idioms, and to analyze the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of cultures between Korea and Taiwan. In Chapt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expressional pattern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to treat the cultural meanings on the inside of idioms, and to analyze the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of cultures between Korea and Taiwan.
In Chapter 1, I presented the purpose and necessity,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lso I described the concepts of Korean and Taiwan idioms, and then checked former researches related to this study.
In Chapter 2, the differences between idioms and idiomatic expressions are presented. And then the idioms are inductively defined by showing various kind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so that the essence of the idioms designated in this article can be fully understood.
In Chapter 3,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nalysis of the primary factors of the idioms generated have been rearranged and newly classified. Those factors mainly resulted from linguistic, historical, social & cultural, and psychological areas.
Chapter 4 treated the expressional pattern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This chapter is divided into 2 parts: usage aspects of grammatical structures and usage aspects of materials. Among the grammatical structures of both Korean and Taiwan idioms, the form combining an object with a predicate ( or a predicate with an object) is the commonest one. And in Korean idioms, the next one is subject-predicate form; the third one is adverb-predicate form.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idioms, the form combining a subject with another subject is the next one; subject-predicate form is the third one. However, there is no form combining a predicate with onomatopoeic or mimetic word in Korean idioms, while there is no independent adverbial form in Chinese idioms.
For the usage of materials, physical organs are mostly used in idioms of both countries. And in Korean idioms, both daily supplies and clothing, food, housing are also frequently used, they are the second-most and the third-most used materials. However, in Chinese idioms, clothing, food, housing are the second-most used materials, while animals and plants are the third-most used ones. Although the materials us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idioms are generally similar, the Korean idioms related to physical organs seem more detailed and concreter than Chinese idioms. Normally, Chinese idioms related to physical organs are expressed with entire name of a certain physical part; therefore the expression is simpler and briefer than Korean ones.
In Chapter 5, I have compared the cultural aspects which Korean and Chinese idioms reflect. First I tried to approach the cultural meaning existing in idioms, the next I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of cultures in Korea and Taiwan through their idioms. Although Korea and Taiwan in the same oriental culture area hold some extent of cultural similarity, but through idioms, we know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ays of thinking, sense of value, and recognition to the same object between them. In particular, we will also realize that idioms reflect appearances of daily-life cultural better than cultural of achievements. To relevantly combine the idioms and the cultural meanings immanent in them makes it more effective to carry out an integrated education of linguistic cultures in the related countries. If we do not realize the corresponding culture well, we will easily make language errors.
Lastly, in Chapter 6, the main points mentioned in each chapter have been synthetically arranged, and the course to use the idioms in terms of linguistic and educational aspects is suggested. With this, I hope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idioms can be carried out in wider dimensions in the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