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화자의 영어유음 인지 : 성인과 아동의 인지 비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모국어(L1) 화자가 외국어(L2)를 배울 때 외국어와 모국어와의 음성 지각 유사성 정도의 차이는 언어 습득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선행연구 Lado(1957)와 Flege(1982, 1995)의 가설에 따르면, Lado(19...

모국어(L1) 화자가 외국어(L2)를 배울 때 외국어와 모국어와의 음성 지각 유사성 정도의 차이는 언어 습득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선행연구 Lado(1957)와 Flege(1982, 1995)의 가설에 따르면, Lado(1957)는 모국어와 유사한 외국어 음이 더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 반면에, Flege(1982, 1995)는 모국어와 음성적 차이가 많이 나는 외국어 음이 더 쉽게 배울 수 있다고 가설하였다.
이 두 가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 Aoyama et al. (2004)과 Hwang et al. (2006)은 한국인 또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영어유음과의 음성 차이 지각(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인지 실험을 실시하여 그 가설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 두 선행연구에서는 실험상에 각각 하나씩의 한계점이 있다. Aoyama et al. (2004)의 실험 대상자인 일본 어린이들은 외국에서 이미 6개월 이상 거주해서 외국어 교육의 영향을 많이 미쳤다는 한계가 있으며 Flege (2005) 와 Sung (2006)에서 나타났듯이 성인아동의 L2 음에 대한 습득의 차이를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 선행연구를 기초로 볼 때 Hwang et al. (2006)의 실험대상에서 한국인 화자를 성인에게만 초점이 맞췄다는 것을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그 선행연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해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에 6개월 이상 체류한 경험이 없는 영어를 배운 한국 성인과 아동이 외국어로 영어유음 /l/, /r/을 배울 때 한국어 유음 /ㄹ/과의 음성적 지각의 유사성과 차이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영어유음을 배울 때 모국어가 어떤 영향이 있는지 하나의 인지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인지 실험은 영어를 배운 한국 성인과 어린이들이 영어유음 /l/과 /r/을 얼마나 한국어 유음과 유사 또는 차이 있는 음성으로 인식했는지 평가한 것이다. 이 논문에 실험방법에는 한국어 유음과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0(“완전 한국어가 아니다”)부터 4(“완전 한국어 이다”)까지의 범위 설정을 하여 참여자들은 녹음된 음성을 듣고 자신이 인지한 유사 정도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SPSS 11.5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 되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를 배운 한국 성인과 어린이들 각각은 전반적으로 영어유음과 한국어 유음을 음성적 차이 있는 것으로 잘 인지하고 있다. 둘째, 영어를 배운 한국 성인과 어린이들은 모국어의 영향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영어유음의 음성적 차이 인지를 다르게 인지하고 있다.
즉, 한국성인은 영어 /l/ 과 /r/의 음성적 차이를 인지한 반면, 한국 아동 영어 /l/과 /r/의 음성적 차이를 인지 하지 못했다. 셋째, 영어를 배운 한국 성인과 어린이들은 위치에 따른 음성적 차이를 다르게 인지하고 있었다. 대체로 그들은 초성위치에 영어유음의 인지 차이를 잘 인지하지 못한 반면, 모음과 모음 사이 위치한 영어유음들은 다른 위치에 비해서 잘 인지했다.

When people learn a foreign language (L2), the degree of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between native language (L1) and foreign language (L2) has been investigated at a main issue. According to Lado(1957) and Flege (1987, 1995), CAH predicts that t...

When people learn a foreign language (L2), the degree of perceived phonetic dissimilarity between native language (L1) and foreign language (L2) has been investigated at a main issue. According to Lado(1957) and Flege (1987, 1995), CAH predicts that the elements of the second language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native language (L1) are easy and others are different to learn. On the other hand, SLM predicts that “equivalent” or “similar” sounds are difficult to learn because L2 learners classify or perceive them to be equivalent to those of their L1, whereas “new” sounds are easier because the learners readily notice these differences. In fact, these hypotheses implicated the importance which investigated the perceived similarity / dissimilarity between L2 phones and their corresponding L1 phones.
On the basis of these hypotheses, Aoyama et al. (2004) and Hwang et al. (2006) carried out the perceptual experiment of acquisition of /l/ and /r/ in English as L2 by Japanese or Korean learners for evaluating the two hypotheses. However, these studies have a methodological problem in the each experiment. In Aoyama et al. (2004), among participants, native Japanese children already had resided for at least 6 months in U.S. That is, they had already received more English education than those who had done it in Japanese. According to Flege (2005), it was predicted that the degree of perceived phonetic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which was the two contrastive phones of L2 and their corresponding L1 phone was the difference between adults and children who learn L2 phones. In the view, the Hwang et al. (2006)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focused on Korean adults.
For complementing the two weak points, we should examine which one between English /l/ and /r/ in Korean learners’ perception is more similar to a Korean liquid phoneme represented as Korean alphabet ‘ㄹ’. This thesis focuses on a comparison of English /l/ and /r/ perception between Korean adults and children, and examin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l/, /r/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liquid.
To accomplish this, I carried out a perceptual experiment. The experimental method was self - rating questionnaire. The rating scale ranged from 0 (“not like”) to 4 (“exactly the same”).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encoded on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1.1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overall phonetic difference between English /l/ and /r/, and Korean /l/. Second, between Korean adults and children perceive differently between English /l/ and /r/ because of the degree of influence on native language (L1). Third,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goodness of fit ratings depending on phonological positions of the liquid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