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nunciation teaching contents, especially focused on consonants and vowel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pronunciation and to compare all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nunciation teaching contents, especially focused on consonants and vowel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pronunciation and to compare all the textbooks sorted each other. This research urges them to teach sound more effectively in the future. It is the basis of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onants in the textbooks place emphasis on the sounds that speakers are easily confused, the sounds in same place of articulation and same manner of articulation, and the different allophon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honeme. Fricatives are most frequently seen in them, compared to others. This shows that it's because it seems to be relatively difficult for Korean to pronoun the consonants in fricatives, even though it's true that fricatives contain the most consonants.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ies of the liquids, nasals, and glides are relatively low or some textbooks never mention any of them. It shows that a variety of consonant sounds should be taught with a balance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lso, each textbook doesn't show all the same frequency rate of consonants and it indicates that it is most likely that pronunciation learning is being taught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what textbook the school uses although the object of textbooks is all the same.
Second, it seems that all vowel categories including front vowels, central vowels, back vowels and diphthong are mostly appropriately balanced in the textbooks. They are generall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short and long sound that the same vowel has, different sounds with the same spelling, same sound with different spellings. One of the findings is that while the number of vowels in other textbooks is 38, average of the frequency rate, only the SaeHan textbook used 80 vowels.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through these findings above. First, most of the sound sections are mainly independently contained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f sounds are learned together with listening practice, it is better for students to easily distinguish each sound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from the word to the whole dialog that speakers try to convey. Second, any pronunciation teaching seen in the textbooks has neither explanation nor detailed description. If some parts contain practices or quiz such as a dictation test that could apply pronunciation learning, the more effective sound learning will be realized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발음 지도 내용을 분석하고 출판사별로 자음과 모음 발음의 사용 빈도수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보다 효과적인 발음 지...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발음 지도 내용을 분석하고 출판사별로 자음과 모음 발음의 사용 빈도수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보다 효과적인 발음 지도를 촉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중학교 1, 2, 3학년 중학교 영어 교과서 총 15종 중 7종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각 교과서의 발음지도 부분에 나와 있는 발음 지도 내용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발음 지도 내용을 학년별, 교과서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발음 지도 내용을 알아보고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발음 지도를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교과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 지도 내용에 제시된 자음은, 한국어에는 없어 한국 학습자들이 상대적으로 어려워하는 마찰음의 비중이 가장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비중 있게 제시된 자음은 파열음이었는데 이는 마찰음과 비교하기 위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이와는 반대로, 유음과 비음, 그리고 전이음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제시가 되었는데 하나의 발음만 집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유음, 비음, 그리고 전이음과 같은 다양한 발음을 균형 있게 다루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자음군과 묵음도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균형 있게 제시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이음 제시는 2, 3학년에서 제시되었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심층적 발음 지도학습이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음은 대부분 같은 발응의 단모음과 장모음, 같은 철자의 다른 발음, 다른 철자의 같은 발음 등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교과서가 마찰음의 비중이 가장 컸던 자음 분류와는 달리, 모음의 경우 대부분의 교과서가 어느 하나의 분류군에만 속하지 않고 대체로 고르게 다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음은 한국인 화자가 혼동하기 쉬운 소리, 음소의 환경에 따른 변이음, 조음 방법이 같은 소리, 조음 위치가 같은 소리가, 그리고 모음은 같은 철자의 다른 소리, 다른 철자의 같은 소리, 그리고 같은 소리의 단모음과 장모음과 같은 소리 등이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나타나있었다는 알 수 있었다.
최근 영어 교과서의 흐름은 주로 말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여기서 발음 지도는 이러한 의사소통을 성취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기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발음 지도가 있어야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며 교사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발음이란 꼭 가르쳐야 하고 이는 짜임새 있는 교과서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다시금 되새겨야 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