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관용표현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관용표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교수·학습...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관용표현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관용표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을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먼저 제시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또 그동안 연구되었던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에 대한 논의를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관용표현의 지도 방안에 앞서 기본적 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관용표현의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 사전적 정의와 학자들의 주장하고 있는 관용표현의 개념을 알아본 후 “그 구조상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고 요소들이 분리 불가능한 연결 관계를 유지하며, 의미상으로는 각각의 어휘가 지닌 의미의 합이 아닌 제3의 의미로 해석되는 표현으로 대중들 사이에서 습관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구 또는 절 형태”로 정의했다. 범주는 “관용표현의 개념에 부합되는 구, 절형 이상으로 다의어, 일반 구절, 은어, 속담, 복합어, 수수께끼, 순수 비유 표현 등”으로 정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관용표현의 목록을 작성한 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문제점으로는 관용표현의 용어 문제, 선정 기준 문제, 학습량의 문제, 설명?확인 문제, 교육 방안 문제 등이 나타났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나타난 문제점 중 교육 방안에 대한 대안으로 관용표현의 여러 가지 지도 방안을 설명과 수업지도안을 통해 제시했고, 확인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지 부분까지 제시해 보았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과제를 제시했다.
외국어로서 한국어 어휘 지도에 대한 과제 중 가장 급한 것은 관용표현의 개념과 범주를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다. 또 외국인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관용표현을 지도 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넓게는 한국어 전체에 대한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has a motivation that we need an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to teach idiomatic phrases to foreig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In chapter 1, I sugges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n idiomatic phrases as a second language and method of it...
This study has a motivation that we need an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to teach idiomatic phrases to foreig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In chapter 1, I sugges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n idiomatic phrases as a second language and method of it. Also, I reviewed some previous related studies so far.
In chapter 2, before explaining the ways of teaching idioms, I look over some base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is study. Firstly, we need to know the definition of 'idiom'. Based on the definition on a dictionary and definitions from some scholars, I defined it as, "In a structural perspective, an idiom consists of more than two words, and in a semantical perspective, it has the non-compositionality of meaning." For the range of idioms, I included phrases based on the definition of 'idiom', polysemy over a clause unit, general phrases, colloquial expressions, proverbs, compounds, puzzles, metaphors.
In chapter 3,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teaching Korean idioms as a foreign language, I made a list of idioms from text books that the institutions currently use for teaching korean. And, I analyzed it to find out problems. I found the choice of the term for 'idiom', the range of idioms, insufficient exercises, inaccurate explanations, curriculums as problems.
In chapter 4, for problems mentioned in above, I suggested various ways of teaching methods with explanations and the teaching guidance plan. Furthermore, I gave the format of evaluation to see how the methods was appropriate for teaching idioms.
As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the result of studies and more investigated issues on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tions.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this study is to give the accurate definition of idioms with the exact range of it. Also, some teaching methods to help foreigners to learn Korean or broadly teaching methods of teaching Korean should be studied further.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