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드라마라는 소재를 통하여 중급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로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
본 연구는 드라마라는 소재를 통하여 중급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로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와 한국어 학습 경험이 있으며 한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이들이 한국생활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한국문화를 선정하여 이를 한국만이 가진 독특한 문화로 보고 이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언어문화란 대화에서 오고 가는 언어뿐 아니라 대화 상화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문화적 요소를 의미한다. 즉 대화를 엮어가는 언어에 대한 배경 이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화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화 내용에 내포되어 있는 언어문화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언어문화를 잘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학습자가 한국문화 속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접할 기회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위해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도 이를 문제점으로 인식하고는 있지만 학습자들도 교육기관도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한정적으로 밖에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험자들의 결과를 통해 한국 언어와 문화 이해를 위해 한국 드라마가 매우 효과적인 학습 자료가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드라마는 한국의 실생활 문화를 경험하게 하는 자료로서 다양한 한국 언어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한국 드라마를 통해 다양한 한국문화를 경험하게 되면 한국 실생활에서 당면할 수 있는 오해나 어려움을 이해 가능하거나, 해결 가능한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 위의 두 결론을 종합하여 한국 드라마가 한국 문화이해와 학습에 매우 효과적인 자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상대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높임말을 사용과 나이의 사회적 의미 이해를 중심으로 드라마 [낭랑 18세]를 활용한 교실 수업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학습자들은 드라마에 나타난 여러 상황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설명이 아닌 보고, 듣고, 느낀 체험으로 한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더욱 폭넓고 다양한 언어문화 상황을 제시해 주고 이해시키도록 드라마 활용을 적극 고려해 보아야 한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ways on effectively conducting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uring intermediate Korean classes using drama as an subject matter.
The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is study seeks to exploreways on effectively conducting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uring intermediate Korean classes using drama as an subject matter.
The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currently studying Korea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 survey was taken on foreign nationals who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three years.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elected the cultural aspects of Korea that non-Koreans found most difficult during their life in Korea. We defined such cultural aspects as the unique culture of Korea and thus presented a proposal for Korean language with this focus.
Furthermore, the language culture defined in this study refers not only to the words that are exchanged in a conversation but also the cultural elements that manifest itself within a conversation. In other words, it is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language being used to weave a conversation. Consequently,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what is being said in a convers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The best method of understanding this language culture is for the student to be exposed frequently to the Korean culture.
However, the opportunity for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of being exposed to Koreans and the Korean culture are very limited. This fact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students, too, understand the problems but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limited in presenting a proposal for resolving this issue to the institutions.
However based on the survey results,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Korean dramas are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 in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Korean drama can be utilizing in allowing its viewers to experience the cultural aspects in everyday Korean life and offers a chance for them to be exposed to the various language cultures of Korea. Therefore, once the students experience the diverse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dramas, they can begin to understand the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they face in Korean life and can attempt to find a way in resolving these problems. Based on these two conclusions, we can confirm that Korean drama is a very effective material in allowing people to understand and learn the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study provides a proposal on running a class using the Drama [Rang Rang 18 sea] in learning how to use the honorific terms that elevate the other party in a conversation and in understanding the social implications of ‘age’ in Korea.
Students can indirectly experience a variety of situations that appear in the drama and this will help them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in their daily experiences of seeing, listening and feeling the Korean culture. Thus, it is worth considering how to present a wide range of language culture situations in class and how to utilize drama to understand such situation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