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 이미지 상승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인 학습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외국인 학습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한국어... 한국의 국가 이미지 상승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인 학습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외국인 학습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는 다양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를 체험하며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즉,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는 학습자 개개인의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외국인으로서 다양한 요인을 가진 채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며 이러한 요인들은 한국어 학습 및 한국 문화적응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 요인 가운데 정의적 요인에 속하는 언어 불안과 사회 ·문화적 요인에 속하는 문화적응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고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데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적응의 구성 요인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요인에 대해 학습자 변인별로 어떠한 지각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언어 불안 요인과 문화적응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 구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습자 변인에 따라 문화적응 요인 및 구성 요인에 대한 지각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 요인이 문화적응 요인 및 구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소재 4년제 종합대학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문화적응도 검사 도구와 기존의 언어 불안 측정 도구인 MLAT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은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 구성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학습자 변인에 따라 문화적응 요인 및 구성 요인에 대한 지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 사후검정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 요인이 문화적응 요인 및 구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 구성 요인은 향수병, 한국 문화에 대한 친밀도, 한국인과의 교류, 문화 충격, 한국어 사용의 어려움, 한국 생활의 어려움이다. 이러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적응은 향수병, 문화 충격 요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한국 문화에 대한 친밀도, 한국인과의 교류 및 한국어 사용과 한국 생활의 어려움 요인과 같은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 과정에 대해 더욱 세부적인 분석이 가능하며 나아가 이러한 특성이 고려된 문화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숙달도가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로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 더 친밀하고 가깝게 느끼는 반면 한국 문화에 대해 느끼는 문화 충격은 더 커진다. 즉, 초급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대한 문화 충격은 덜하지만 아직까지 한국 문화를 친숙하고 가깝게 느끼지 않고, 중급 학습자는 한국 문화가 자신의 문화와 다름을 인지하고 문화 충격을 느끼게 되지만 한국 문화에 대해서 조금씩 이해하게 되며, 고급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대해 자신이 겪은 문화 충격을 서서히 극복하고 한국 문화를 친숙하게 느끼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 단계에 따른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 요인은 문화적응 요인 및 구성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정도는 낮으며, 구체적으로 입력 불안과 처리 불안이 높을수록 한국 문화에 대한 친밀도가 낮고 출력 불안이 높을수록 한국어 사용에 대한 어려움을 크게 느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사는 학습자를 보다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학습자가 느끼는 언어 불안 및 그러한 언어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한국 문화적응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 언어 불안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응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느끼고 있는 언어 불안과 문화적응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활용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불안을 극복하고 그들의 한국 문화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