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최근 국제결혼으로 인한 이주여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우리나라에서 이주자, 소수자 그리고 여성으로서 매우 특수한 위치에 놓여 있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국제결...

최근 국제결혼으로 인한 이주여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우리나라에서 이주자, 소수자 그리고 여성으로서 매우 특수한 위치에 놓여 있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모국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의 신념체계, 생활방식, 사회적 관계망, 습관적 행태에 자신을 통합시켜 나가기보다는 일방적으로 한국사회 문화에 동화 · 흡수되기를 강요당하면서 살아간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외국인 이주 여성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함으로써, 건강한 한국인으로서 적응적 삶을 살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응관련 요인별 특성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언어적응, 사회적 지지와 한국사회적응도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필리핀, 베트남, 중국, 러시아 등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07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사회복지관련 기관과 가정을 방문하여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총 1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15부가 회수되었으나 내용이 부실하고 통계에 이용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하고 102부 만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이주 여성의 한국어 능력 차이는 연구대상자의 사용 언어, 국적, 결혼지속 기간, 남편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국적별로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용 언어에 따라서는 본국어, 영어, 한국어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남편의 아내모국어 능력의 차이는 국적, 월수입, 본인종교, 사용언어, 남편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월수입, 본인의 국적, 남편의 종교, 남편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나 월수입이 많을수록, 남편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편의 종교가 불교인 집단의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요 변수가 한국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 사회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이주 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 이주 여성이 한국거주 이후에 경험한 요인들로 인한 한국 사회 적응의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공유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의 풍습, 문화, 예절, 자녀교육, 요리 등에 대해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주 여성의 문화를 소개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the number of foreign wives because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These people are in abnormal so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as immigrants, minorities, and as a woman.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th...

Recently,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the number of foreign wives because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These people are in abnormal so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as immigrants, minorities, and as a woman.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these foreign wives from overseas are forced to be assimilated or absorbed in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rather than to be integrated into Korean way of thought and custom, social network, behaviors on their own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ountries in various ways. Therefore, efforts have been made to figure out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dures of local adaptation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ose foreign wives in need so that they can successfully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Efforts have also been made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adaptation of these foreign wives who living in Gwang-ju / Jeon-nam area to the Korean society and the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s, linguistic adaptation, social support.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foreign wives from overseas whose abodes ar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st), 2007 to October 31^(st) by visiting the social welfare related organizations and families collecting and analyzing 102 resources suitable for the research out of total 115 materials collected. The materials suitable for the study was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of like Frequency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n Population Sociological respec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fluency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ir mother tongue, nationality, the term of marriage, husband’s academic achievement. The Fluency was in order of China, Philippine, Vietnam and the more the husband’s academic achievements are the more fluency could be found in the foreign wives. In addition, the order of fluency stretches from their mother tongue to Korean language, English being in the middle.
Second, there was also a meaningful distinction in the husbands’ fluency of their wives’ native language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monthly income, religion, mother tongue, and scholastic achievement when we see them in population sociological respect.
Third, the meaningful result, in light of the population sociology, in the distinction of social support could be found according to the husbands’ religions an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In particular, the group whose religion was Buddhism turned out to get the highest level of social support.
Fourth, after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the foreign wive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t turned out that the social support could influence those foreign wives trying to adapt to Korean way of life in an affective way and it also turned out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them gives negative impacts on the successful adaptation.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we might obtain from this study.
First, we need to further our research in the cross-sectional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more accurately the level of adapta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the foreign wives experienced in Korea after the marriage.
Second, we are in need of cross-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boost up the foreign wiv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rd, the efforts to eliminate the social prejudice towards the foreign wives should be made by trying to introduce and educate the cultural features of these foreign wives to the public at a community level.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