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의미 있는 하나의 글을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교사의 내용적 피드백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및 내용적 피드백의 효용성을 검증...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의미 있는 하나의 글을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교사의 내용적 피드백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및 내용적 피드백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 피드백의 유형과 평가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은 서론으로 현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내용 피드백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이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및 쓰기 피드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과정중심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고, 피드백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설문조사와 실험 연구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쓰기 피드백의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보다 바람직한 쓰기 피드백 방법을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중?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를 통하여 내용 피드백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바람직한 내용 피드백을 찾아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분석 및 논의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쓰기 활동에서 내용피드백이 중요하다는 것은 많은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학습 내용은 문법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글의 내용에 대해 학습하고자하는 학습자 요구가 충족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드백의 효과에 대해서 학습자들 대부분은 문법과 내용 피드백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았고, 피드백에 대한 요구도 문법과 내용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 진학 목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는 내용이 문법보다 조금 더 중요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연구에서는 중급, 고급, 학부를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집단의 초고에 내용 피드백과 문법 피드백을 나누어 제공하고 다시쓰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사 경력 평균 4년 이상의 교사들에게 초고와 다시쓰기를 한 결과물들을 채점하게 하고 이후 처음 쓰기와 다시쓰기 점수의 향상도를 측정하였다. 내용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 집단에서 모두 점수가 향상이 되어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5장에서는 4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내용 피드백의 유형과 쓰기 평가 틀을 제시하고, 그 활용 방안 및 제시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This study carries out an experiment on the effect on content-based feedback and needs analysis for learners, based on that content-based feedback by teachers would be helpful to complete a piece of meaningful writing for learners. In terms of the exp...

This study carries out an experiment on the effect on content-based feedback and needs analysis for learners, based on that content-based feedback by teachers would be helpful to complete a piece of meaningful writing for learners. In terms of the experiment, the study suggests types of content-based feedback and the framework of evaluation.
The study is constituted as stated next. ChapterⅠ explains the necessity of content-based feedback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of writing and the object of the study. Prior studies about Korean education of writing and feedback on writing are also described.
ChapterⅡ is descriptive of the theory of process-oriented writing and definitions and types of feedback.
ChapterⅢ is divided into two parts ; a questionnaire and an experiment. First, the method of desirable feedback is consid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grasp the present status and learners' need of feedback on writing. Then, through the experiment fo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effect of content-based feedback is examined and the chapter is researched the most desirable content-based feedback and the application methods.
ChapterⅣ discusses and analyzes the results from ChapterⅢ.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llustrates that a number of learners recognize that content-based feedback is important for writing, but wiring classes which learners are taking in real have mainly focus on grammar. This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need of learning the content of writing is not matched in Korean writing classes.
Regarding the effect on feedback, most learners think positively about both grammar-based and content-based feedback, and the needs for them are similar. However, some result shows the content of writing is more important than grammar for the learners wh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the experiment,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receive content-based feedback for one group and grammar-based feedback for the other group about the first draft. The learners then re-write the next draft. After that, Korean teachers who has experiences to teach Korean over 4 years as average grade learners' writings and analyses improvement in the grade of the frist draft and second draft. The result that all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s content-based feedback have improved is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hapterⅣ, chapterⅤ suggests types of content-based feedback to improve writing ability for Korean learners and the framework of evaluation, and explores the way to suggest feedback and the application methods.
Lastly, chapterⅥ summaries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is study and seek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prospective studie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