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ly, the jazz dance has been popular in our society, riding on the world-wide wave of well-being. The jazz dance free, modern and popular attracts people's attention because it is an aerobic exercise consuming much energy.
The purpose of this stud...
Lately, the jazz dance has been popular in our society, riding on the world-wide wave of well-being. The jazz dance free, modern and popular attracts people's attention because it is an aerobic exercise consuming much ene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gagement and flow in jazz dance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362 members (71 men and 291 women) of 12 jazz dance centers in Seoul for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self-esteem of their bodies, the researcher modified Mendelson & White's (1982) 5-point "body esteem scale" by excluding the items used in Jo Ji-sook's (1982) research. And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immersion in jazz dance, the researcher modified the ECSM (Extension of the Sports Commitment Model) developed by Scanlan, et al., (1993) and translated by Jeong Yong-gak (1997). Furthermore,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self-esteem, the researcher used Rosenberg's (1965) 'self-esteem scales'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Kim Young-ho (1998).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Windows 12.0 and AMOS 5.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s' engagement and flow in jazz dance as well as their body image and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nd age). And it was found that subjects' frequency and hours spent for jazz da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of flow in jazz dance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gender and age, and subjects' body imag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Subjects' image of their look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In contrast, health condition, physical activities,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and subjects'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and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ours spent for jazz dance had the effects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particularly image of look and overall body image. And frequency and hours spent for jazz dance had the effects on physical energy and muscular strength. Frequency and flow affected physical flexibility. In common, hours spent for jazz dance influenced sub-factors of body image and overall body image. However, frequency and flow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factors of body image and overall body image. On the other hand, hours spent for jazz dance affected self-esteem.
Third, subjects' behavioral flow in jazz dance affected their image of look, physical energy,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and overall body image, and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flow in jazz dance influenced their perception of health. On the other hand, subjects' self-esteem was affected by cognitive flow.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body image and self-esteem, the two variable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Particularly, subjects' image of look was correlated highest with their self-esteem. Physical energy was highly correlated with muscular strength.
Fifth, flow in jazz dance was correlated with sub-factors of body image as well as those of self-esteem. In overall terms, correlation between flow and body image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flow and self-esteem. Namely, hours spent for and flow in jazz dance affected body image and self-este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effect model, the factor affecting self-esteem was body image (.49). Although the effect of body imag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t was higher than that of flow(.36). All in all, body image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of self-esteem.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effects of jazz dancers' needs and flow on their body image and self-esteem is deemed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for some theoretical ground for enhancement of the jazz dance classrooms.
현대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 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인간의 신체 활동이 감소되고 여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취미 및 여가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
현대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 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인간의 신체 활동이 감소되고 여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취미 및 여가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여가활동의 종류가 다양화 되었으며 생활체육 종목 역시 다양화 되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Well-being 바람과 함께 재즈댄스와 같은 생활체육 참여를 통해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었다. 재즈댄스는 자유로우면서도 현대적이고 대중적이며, 기본적으로 열량 규모가 큰 유산소 운동이라는 특징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재즈댄스 참가자의 참가 정도와 몰입 정도가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2007년 현재 서울시 12개 재즈댄스센터의 회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 본 연구의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한 표본 수는 남성 71명, 여성 291명으로 총 36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외모와 체형에 대한 자신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Mendelson & White(1982)의 신체 존중 척도(body esteem seale)중 조지숙(1982)의 연구에서 중복된 문항을 제외하고 수정 보완하여 5단계 평정법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몰입 측정 도구로는 Scanlan(1993)등의 ECSM(Expention of the Sports Commitment Model)을 거쳐 개발한 척도를 정용각(1997)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한 바 있는 스포츠 몰입도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아존중 측정 도구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질문지(self-esteem scales, 1965)를 김영호(1998)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한국판 자아존중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기술통계분석과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Chi-sguare test, 일원변량 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었다. 이상의 자료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 spss windows 12.0 version, AMOS 5.0 version 을 이용하였으며 분산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를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재즈댄스 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성별·연령)에 따라 재즈댄스 참가 정도, 몰입 정도,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재즈댄스 참가 정도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참가 빈도와 참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 빈도는 남·녀 모두 2-3회가 가장 많았으며 참가시간은 남·녀 모두 1-2시간이 가장 많았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재즈댄스 몰입 정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신체상과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신체상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별로는 집단 간 외모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강, 신체적 활력, 근력, 유연성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재즈댄스 참가자의 집단 간 자아존중감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즈댄스 참가자의 참가 정도 중 참가 기간이 전반적으로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모요인과 전체적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참가 정도 요인은 참가 기간이었으며, 신체적 활력 요인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가 정도 요인은 참가 기간과 참가 빈도였다. 또한, 유연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참가 정도 요인은 참가 기간과 참가 강도로 나타났다. 참가 정도 요인 중 공통적으로 참가 기간이 신체상의 하부 요인들과 전체적 신체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참가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체상 하부 요인과 전체적 신체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 빈도 및 강도의 경우, 빈도와 강도가 높아질수록 신체상 하부 요인들과 신체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참가 정도 요인은 참가 기간이었다.
셋째, 재즈댄스 참가자의 몰입 정도가 외모 요인과 신체적 활력 요인, 근력 요인, 유연성 요인, 전체적 신체상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은 행위 몰입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요인만이 인지 몰입과 행위 몰입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몰입 정도 요인은 인지 몰입으로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상과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상의 하부 요인 중에서는 외모 요인이 자아존중감과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적 활력과 근력 간에도 역시 비교적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재즈댄스 참가 정도의 요인들이 신체상의 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의 요인들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참가 정도, 몰입 정도와 신체상 간의 상관관계가 참가 정도, 몰입 정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참가 정도와 몰입 정도가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상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과관계 모형에 있어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49로 참가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몰입 정도 .36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상이 자아존중감의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재즈댄스 수업에 임하는 참가자들의 내부적인 요구와 몰입정도가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세부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재즈댄스 수업의 질적 향상에 의미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