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학습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한국어 어휘에 담긴 문화의 상징성을 연구하여 이를 교육 자료 등으... 이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학습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한국어 어휘에 담긴 문화의 상징성을 연구하여 이를 교육 자료 등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나라의 언어를 제대로 습득했다는 것은 한국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언어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고 학습해야만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문화상징 어휘들을 적확한 맥락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상징 어휘들을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선별하여 이의 상징 의미 및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한국어 문화 교육 측면에서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뒤,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2장에서는 상징의 개념을 정의하고 상징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상징과 문화 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측면에서의 한국문화상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화상징 의미를 이해시키고 교육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분석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재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를 검토하여 490여 개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러고 나서 형식 및 내용적인 면을 고려한 네 가지 선정 기준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될 50개의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선별하였다. 50개의 한국문화상징 어휘는 ‘사람’ 관련, ‘행위’ 관련, ‘의·식·주’ 관련, ‘제도·생활’ 관련, ‘동·식물’ 관련, ‘기타’ 등 여섯 가지 분야로 범주화하였다. 이 장의 끝 부분에 분석 방법과 분석 절차를 제시하였다.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토대로 50개의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사전적 의미, 상징적 의미, 도상, 비고, 교재 제시내용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문화 상징 어휘의 특성을 여섯 가지로 기술할 수 있었고 이는 한국인의 성격적 특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살펴보았다.5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읽기 수업의 보조 자료로 활용되거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이는 언어문화학습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이 연구를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혔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교육을 위해 한국문화상징 어휘를 분석하여 그 상징 의미를 밝혀 이를 교육 자료로 활용할 방안을 만들었다는 데에 있다. 이렇게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한국문화상징을 연관시킨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는 한국문화를 좀 더 내실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aise awareness among non-native Korean learners of the necessity of acquiring symbolic vocabularies for Korean culture, and to delve into the cultural symbolicity of Korean vocabularies in preparation for the develop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aise awareness among non-native Korean learners of the necessity of acquiring symbolic vocabularies for Korean culture, and to delve into the cultural symbolicity of Korean vocabularies in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An acquisition of a language cannot be complete without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at language that is a mirror of the culture of the nation where it is spoken. Learners should be able to use high-frequency colloquial words that stand as a symbol for culture in the right contexts. Thus it was attempted in this study to select from Korean textbooks culture-symbolic vocabularies, to look into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elected words and to explore how they could be utilized in educating non-native Korean learners.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fter earlier studies on Korean culture education were reviewed,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determined.Chapter 2 defined 'symbol' and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of symbol to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 connections between symbol and cultural education. Besides, the symbol of Korean culture was explored in association with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Chapter 3 analyzed the vocabularies of Korean textbooks to educate non-native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cultural symbols of vocabularies in everyday life. After Korean textbooks were investigated, a list of approximately 490 vocabularies were drawn up, and 50 vocabularies that symbolized Korean culture were selected from it according to four selected criteria that covered both form and content. The final 50 vocabularies were categorized into six segments that were respectively related to people, behavior, food/clothing/shelter, institution/life, animals/ plants, and others. The method and procedure of analysis were explained at the end of this chapter.Chapter 4 looked into the lexical meaning, symbolic meaning and icon of the 50 vocabularies that symbolized Korean culture according to the analytic framework shown in the previous chapter. And how those word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was reviewed as well. As a result, six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ies, which had a close relationship to the personality traits of Koreans.Chapter 5 explored in which way those vocabularies could be employed as educational materials. They could be applied as auxiliary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or be included when a dictionary for the symbol of Korean culture is compiled. Furthermore, it seems possible to capitalize on them as teaching materials for education about language and culture.Finally, Chapter 6 summed up the study, explained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made a suggestion about future research effort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analyze symbolic vocabularies for Korean culture and their symbolic meaning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m in providing integrative education for language and culture. A combin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about the symbols of Korean culture is expected to let non-native Korean learn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everyday life and ultimately to boost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Korean.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