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별과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남, 녀 중학생 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별과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남, 녀 중학생 1, 2, 3학년 299명을 대상으로 SNS 이용양상 질문지, 사회적 그루밍 질문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프로필기반 SNS이용양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이용빈도, 주중이용시간, 주말이용시간, 사회적 그루밍 수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인식과 내면화 수준이 높았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은 주로 게시하는 프로필사진유형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 각 변인들의 응답치를 평균을 기준으로 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필기반 SNS의 주중이용시간, 주말이용시간, 친구 수, 사회적 그루밍 수준이 높은 집단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프로필기반 SNS의 이용빈도, 주중이용시간, 주말이용시간, 친구 수, 사회적 그루밍 수준이 높은 집단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수준이 높았다. 셋째, 청소년의 성별과 프로필기반 SNS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인식에 대한 성별과 게시글 업데이트 횟수의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청소년의 프로필기반 SNS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우리나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라는 신체 관련 변인의 관계를 처음으로 확인한 탐색적 연구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and patterns of use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9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and patterns of use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9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Students rated the SNS Use Pattern Questionnaire, Social Grooming Questionnaire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Questionnaire(SATAQ).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in SNS use frequency, SNS use time during weekday and weekend, social grooming behaviors and awareness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than male students.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uploading photo types on SNS profile. Second, the higher groups in SNS use time during weekday and weekend, the number of SNS friends and social grooming behavior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awarenes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than lower groups. Also, the higher groups in SNS use frequency, SNS use time during weekday and weekend, the number of SNS friends, social grooming behavior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internaliz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than lower group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the number of upload posting on SNS on awarenes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