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s to study th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layback Theatre, by analyzing the performances of Playback Theatre, autobiographical storytelling improvisation Founded in 1975 by Jonathan Fox, U.S. New York, Playback Theatre was fir... The aims to study th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layback Theatre, by analyzing the performances of Playback Theatre, autobiographical storytelling improvisation Founded in 1975 by Jonathan Fox, U.S. New York, Playback Theatre was first introduced into Korea in 2001 by Noh Ji-hyang, the director of an educational theatre group ‘HAE’, and has continued to develop and change for more than 10 yea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theater performances of the Playback Theatre, I examined whether the Playback Theatre faithfully embodies the essence of the play and is effectively sav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with audience, which leads this to the study of the genre identity that the Playback Theatre should aim.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theatrical and h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Playback Theatre with the overview of the Playback Theat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I analyzed the case of Playback Theatre at home and abroad. Especially, I have studied the last 10 years’ performances of domestic major Playback Theatre teams including ‘HAE’ that I belong to. Through this, I typified the cases of performance planning and story presentation and grasped the current situation. Third, based on the cases of domestic performances, I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layback Theatre performances in Korea in terms of purpose, structure and environment of the play and utilized as a self - reflective basis for future developmen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yback Theatre has been converged 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and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plan has been derived. First, Playback Theatr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impromptu play by prepared actors, social events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and healing effects, which are divided into an improvisation drama, an audience participation drama, and a healing drama in genre. And based on this, the Playback Theatre was able to have the artistic, public, mutual, and healing properties for the purposes of the play. Second, however, with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of the domestic Playback Theatre, I found that there are still many deficienci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urposes of the play derived from the abov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 effects of the Playback Theatre, it was determined that Playback Theatre could not be firmly established as an attractive viewing area for domestic audiences. Third, I suggested ways to expand the area as Interactive Theatre and Healing Theatre by reinforcing the basic foundation of improvisation play as an attraction of the Playback Theatre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the Playback Theatre and complementing the two practical attributes, the interactive nature and the healing ability. Playback Theatre in which the actors and the musicians perform a firsthand story from the audience in an improvised manner realizes the true meeting through the pla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Playback Theatre will meet more audiences in the future in Kore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rst summarized the activities in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layback Theatre in Korea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in various aspects from the theatrical viewpoint to grope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domestic Playback Theatre.
본 논문은 자전적 스토리텔링 즉흥 연극 형태를 지닌 ‘플레이백 시어터(Playback Theatre)’의 공연 사례 분석을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의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논문은 자전적 스토리텔링 즉흥 연극 형태를 지닌 ‘플레이백 시어터(Playback Theatre)’의 공연 사례 분석을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의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5년 미국 뉴욕에서 조나단 폭스(Jonathan Fox)에 의해 시작된 플레이백 시어터는, 2001년 극단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공간-해’ 대표 노지향에 의해 국내에 처음 도입되었고, 그로부터 10여년 동안 발전과 변화를 지속해왔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국내 플레이백 시어터 공연의 현황 분석을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가 연극의 본질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지, 플레이백 시어터만의 특성을 관객들과 효과적으로 향유하고 있는 지 파악하고, 이를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가 지향해야 할 장르적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의 개요를 파악하고, 플레이백 시어터가 지닌 연극적, 치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 플레이백 시어터 상연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속한 극단 ‘연극공간-해’를 비롯한 국내 주요 플레이백 시어터 팀의 지난 10여년 동안의 공연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연 기획 및 이야기 상연 사례를 유형화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셋째, 국내 공연 사례를 바탕으로 연극의 목적, 구조 및 환경적 측면에서 국내 플레이백 시어터 공연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자기반성적 토대로 활용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플레이백 시어터 발전을 위한 연구는 다음의 3단계로 수렴되면서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플레이백 시어터는 준비된 배우에 의한 즉흥 연극, 관객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사건, 치유적 효과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장르적으로 각각 즉흥극, 관객 참여 연극, 치유 연극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플레이백 시어터는 예술성 및 대중성, 상호 소통성, 치유성을 그 연극의 목적으로 두게 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러나 국내 플레이백 시어터 상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위에서 도출한 연극의 목적들의 구현에 있어 아직은 미흡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로 인해 플레이백 시어터만의 특성과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 관객들에게 매력적인 관람 영역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플레이백 시어터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플레이백 시어터만의 매력으로서의 즉흥 연극이라는 기본 토대는 견고히 하면서, 실질적인 효과 측면의 두 속성인 상호 소통성과 치유성을 더욱 강화하고 보완하여 Interactive Theatre와 Healing Theatre로서의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관객이 현장에서 직접 들려주는 이야기를 배우와 악사가 즉흥적으로 상연하는 형태의 플레이백 시어터는 연극을 통한 진실된 만남을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도 플레이백 시어터가 향후 보다 많은 관객들과 참 만남을 이루어가길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국내에 플레이백 시어터가 도입된 이래 처음으로 국내에서의 활동을 정리하고 연극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