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교육의 목적은 미술작품 생산을 위한 기술의 계승이나 사회적 요구에 따른 작가 양성에 국한되어있지 않고, 미술시장 더 나아가 개인 삶에서의 미적 향유를 위한 미술 소비자로서... 현대 미술교육의 목적은 미술작품 생산을 위한 기술의 계승이나 사회적 요구에 따른 작가 양성에 국한되어있지 않고, 미술시장 더 나아가 개인 삶에서의 미적 향유를 위한 미술 소비자로서의 교육을 지향한다.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미술교육은 일제강점기를 지나 대한민국수립이 선포된 이후인 1955년 1차 교육과정이 공시된 이후에서야 근대적 미술교육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외국의 미술교육 패러다임을 차용하여 다양한 교과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변화, 발전하였기 보다는 무조건적인 수용으로 초기의 표현기능 중심 교육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에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삶을 위한 미술교육(Art for Life)’이 대두되며 새로운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강조된다. 최근 세계적인 교육혁신의 바람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과 면대면 수업(Face to Face Class)이 각광을 받으며, 새로운 학습자 중심 교육형태로서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이 등장하였다. 그 교육적 효과는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타교과목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술과에 접목할 수 있는 연구가 없어 아쉬움을 자아냈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미술교육에서 부각되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서 학습자의 시각적 사고력 및 기초 학습능력 향상에 목적을 둔 미술과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한국미술교육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였다. ②연구의 주요 이론인 시각문화 미술교육, 구성주의, 거꾸로 교실 등 각 이론의 개념 및 정의를 구체화하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를 밝혔다. ③연구 이론을 뒷받침할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④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미술과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에 따라 미술 소비자 교육으로서 ‘거꾸로 교실’의 활용은 수업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다양한 시각적, 미적 견해를 공유하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이해와 조율을 통하여 개인적 학습 결과에까지 긍정적이고 다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학습자가 산업 발달에 따라 편리하고 윤택해진 개인의 삶에 넘쳐나는 시각 정보에 대하여 올바른 판별력과 시각적 문해력(文解力)을 가지고 이를 활용하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서 제시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modern art education is not limited to succession of skills to produce art works or to nurture artists according to social requirements. It aims at nurturing art consumers to appreciate beauty in their personal lives. In our country’s... The purpose of modern art education is not limited to succession of skills to produce art works or to nurture artists according to social requirements. It aims at nurturing art consumers to appreciate beauty in their personal lives. In our country’s education system, the first (independent) educational curriculum of art was shaped when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55 after the Japanese colonial times. Although diversified subject studies have been made by borrowing foreign art education paradigms during relatively short time,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art education did not escape from the early expressive function centered education because of unconditional accommodation rather than adapt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our situation. according to our situations. Accordingly, studies on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in art education become emphasized as Art for Life emerges as learner-oriented education. With recent global innovation in education, self-driven learning and Face to Face Class are on the spotlight, and Flipped Class is introduced as a new learner-oriented education method.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its educational effects in other subjects, there has not been a study to graft this method.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eaching method to improve visual thinking and basic learning skills as ‘Art for Life’, which is highlighted in current art education in Korea. The order of the main text is as follows. ① Analyzation of history and a flow of art education in Korea to find problems and future tasks. ② Identification of the necessity of studies by materializing concepts and definition of the theories such 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onstructivism and Flipped Class. ③ Studies supporting previous theor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④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rt subject education field are presented. According to study results, utilization of ‘Flipped Class’ as art consumer education would enable students to have diverse(or various) visual and aesthetic opinion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Furthermore, students in the class could make positive and multi-faceted effects on personal learning result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ordin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tilizing Flipped Class could be presented as ‘Art for Life’ in which learners utilize visual information overflowing from personal lives which become more convenient and rich accord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with right discrimination and visual literacy.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