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문화적 조류가 쏟아지는 오늘날의 현대 사회에서 빈부 격차가 늘어나는 만큼 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도 늘어나고 있다. 서구의 전통적인 사회복지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자면 국민... 새로운 문화적 조류가 쏟아지는 오늘날의 현대 사회에서 빈부 격차가 늘어나는 만큼 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도 늘어나고 있다. 서구의 전통적인 사회복지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자면 국민의 복지 실현은 경제적인 욕구 충족과 배분에 초점을 두는 사회복지영역 만으로는 해결 방안이 될 수 없다. 오늘날 우리가 지향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복지는 물질적인 만족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삶의 풍요로움까지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전 국민이 복지의 혜택을 수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소외계층의 복지라는 개념은 단지 경제적 혜택만을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문화적 측면의 삶의 질까지 포함시켜야지만 비로소 완벽한 복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문화복지품질이 수용태도 및 복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복지품질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주요 변수로 서브퀄(SERVQUAL:service quality)을 활용하여 보증성, 공감성, 신뢰성, 대응성, 유형성을 도출하였고, 문화소외계층의 수용태도 및 복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문화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보편적 문화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적인 환경조성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문화복지가 필요한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협의의 문화복지 개념을 채택하였다. 그 대상은 문화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시설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문화복지 수혜자로서 자료의 수집과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문화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의해서도 다양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문화소외계층은 여러 가지 원인과 환경이 중복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문화소외계층을 그 대상으로 하는 정책에서는 계층별 정책과 총체적 정책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정책은 궁극적으로 수혜대상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현재의 취약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활 노력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문화와 복지로 나뉘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체계를 통합하여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분야 전공자 또는 관련 업무경험자 등의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업무의 능률성과 효과성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부족한 문화기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지역문화의 발전은 도서관이나 대규모 공연장, 극장, 전시장, 박물관 등 지방의 문화예술시설을 확충하는 문제로 인식되는데 이는 문화향유권의 분배라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문화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주민과 문화복지 담당자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각종 문화복지 프로그램에 문화소외계층 수혜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와 문화복지 담당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문화복지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주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문화복지품질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지속성 있는 진정한 문화복지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복지의 수혜자 관점에서 문화복지품질의 실효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가지며, 더불어 실제적 수혜자를 통해 문화복지서비스 품질의 개선점과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문화복지 사업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modern society where new cultural tides are thriving,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grows, so is the culture marginalized clas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western traditional social welfare system, the realization of social... In today's modern society where new cultural tides are thriving,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grows, so is the culture marginalized clas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western traditional social welfare system,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can not be solved only by the social welfare area which focuses on the fulfillment and distribution of economic needs. The definition of welfare today, that we intend to pursue means not only material satisfaction but also the enrichment of cultural life. Thus, the concept of welfare for the underprivileged can be completed only if it includes not only economic benefits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in the cultural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ultural welfare quality on the attitude of acceptance and welfare satisfaction of the cultural marginalized class. First, based on reference and previous research, we derived assurance, sympath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corporality as five main variables that constitute culture welfare quality by using SERVQUAL and tried to examine how they affect the acceptance attitude and welfare satisfaction of the culture neglected class. Through this, we tried to draw implications for cultural policy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In order to create a basic environment for realizing welfare culture welfare, we first adopted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as a consultation for the cultural excluded people who need cultural welfare. The subjects were cultural welfare beneficiaries who had participated in cultural welfare programs or had experience using facilities, and we conducted empirical studies using surveys as methods for collecting and measuring data.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influences by the actual use of cultural welfare service and demographic factors. Based on this, I tri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projects targeting the underprivileged. First, the culturally excluded group have overlapping causes and environments. Therefore, the policy per class and an overall policy must both be considered. Second, policies on the underprivileged should ultimately support self-support so that beneficiaries can voluntarily and actively escape from the present vulnerable conditions. Third, it should integrate the operating system of local governments which is currently divided into culture and welfa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professional manpower such as majors in culture and arts field or experienced worker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work. Fourth, cultural infrastructure should be expanded.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s recognized as a problem of expanding local culture and arts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large theaters, theaters, exhibition halls, museums, etc. This is an important task in terms of distribution of cultural rights. Finally,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cultural welfare service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cultural welfare officers is necessary. Policy consideration and cultural welfare staff's effort for the excluded group to actively participate in cultural welfare programs is necessary. When cultural welfare services are systematically linked directly to the lives of the residents,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welfare quality can be improved and it can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actual and sustainable cultural welfare. Therefore,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because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welfare qu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beneficiaries of cultural welfare. In addition, by suggesting improvement points and future development plans of cultural welfare service through the actual beneficiaries, we suggested the right direction for cultural welfare project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