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미치는 효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folk children’s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on three-year-olds’ preschool adjustment. To implement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to 3-year-old children for thei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folk children’s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on three-year-olds’ preschool adjustment. To implement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to 3-year-old children for their preschool adjustment,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3-year-old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1)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pro-sociality? 2)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within their child center? 3)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peer adjustment? 4)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ego statuse? 5) How d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daily routin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66 children at A and B elementary school and C and D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classes in Seoul. One group was an experimental group(n=33) to which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were implemented, and the other group was a control group(n=33) to which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themes were implemente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14 sessions between March 28th to May 13th, two times a week, for seven consecutive weeks. The test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by Jewsuwan, Luster & Kostelink (1993)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Korean scholars.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sub-categories which are pro-sociality, emotional development within child center, peer adjustment, ego statuse, and adjustment to daily routine. A SPSS 20.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via ANOVA, and to examine each group’s pre-test scores via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on 3-year-old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123.0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92.54) (F=98.16, p<.05). Second,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on pro-sociality,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21.45)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15.76) (F=50.07, p<.05). Third,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e on emotional development within child centers,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18.0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13.97) (F=50.07, p<.05). Fourth,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on peer adjustmen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25.48)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19.48) (F=69.21, p<.05). Fifth,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on ego status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26.12)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20.52) (F=74.49, p<.05). Sixth, after analyzing the post-test scores to see i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for children has an impact on adjustment to daily routin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M=31.94)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M=22.82) (F=87.00, p<.05). See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implementing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to children i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preschool adjustment of 3-year-old children. Accordingly, this type of the program should be highly encouraged to be utilized so that children better experience stable preschool adjustment. Keywords : preschool adjustment,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ctivities, 3-year-old * The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본 연구는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3세 유아유치초기적응미치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학기 초기부터 전래놀이동요 활용을 실시하고, 연...

본 연구는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3세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미치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학기 초기부터 전래놀이동요 활용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기관에서의 정서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3.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의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4.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자아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5.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일과에 대한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3세 33명과 C,D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3세 3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A,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33명은 전래놀이동요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C,D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33명은 생활주제에 맞춘 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3월 28일~5월 13일의 7주 동안 주 2회씩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Jewsuwan, Luster & Kostelnik(1993)가 개발한 ‘유아 교육기관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를 우리나라의 문화,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번안하여 사용한 김현진(2014)연구에서 사용된 적응측정 검사도구이다. 단, 만 3세 유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단어는 조금 수정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친사회성’, ‘기관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자아상태’, ‘일과에 대한 적응’을 포함한 5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123.09)이 비교집단의 아동(M=92.54)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98.16, p<.05). 둘째, 적응의 하위 요인 중 친사회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21.45)이 비교집단의 아동(M=15.76)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50.07,p<.05). 셋째, 적응의 하위 요인 중 기관에서의 정서상태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18.09)이 비교집단의 아동(M=13.97)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50.07,p<.05). 넷째, 적응의 하위 요인 중 또래간의 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25.48)이 비교집단의 아동(M=19.48)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69.21,p<.05). 다섯째, 적응의 하위 요인 중 자아상태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26.12)이 비교집단의 아동(M=20.52)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74.49,p<.05). 여섯째, 적응의 하위 요인 중 일과에 대한 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31.94)이 비교집단의 아동(M=22.82)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87.00,p<.05).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학기 초 유치원 적응에 있어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의 예가 될 수 있으므로 만 3세 유아의 교육활동에 전래놀이동요 활동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안정적인 유치원 적응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주요어 : 유치원 초기적응, 전래놀이동요, 만 3세 유아 * 본 논문은 2016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