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들은 외국인 어머니로부터 부정확한 발음과 한정된 어휘 습득으로 인해 일반 가정의 아동들보다 언어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들은 외국인 어머니로부터 부정확한 발음과 한정된 어휘 습득으로 인해 일반 가정의 아동들보다 언어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 또래 아동과 어울리지 못한 상태에서 초등학교에 입학한다면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연결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들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전래 동화를 활용한 1:1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이들 아동의 언어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게 문화가 들어 있는 전래동화가 더 유용하다는 점을 밝혀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전래동화 텍스트의 선정기준과 선정기준에 맞는 작품인 「파란 부채 빨간 부채」를 활용한 실제 수업을 제시하였다.
먼저, 다문화가정의 분포 현황과 아동의 수를 살펴보았다. 현재 다문화가정의 아동의 수는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빈부의 격차와 계층별 양극화 현상이 심한 대도시에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이 특정 지역의 문제만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언어 실태 부분에서는 듣기와 말하기에서 부족함을 보였으며, 상대방의 질문에 이해하지 못해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말하기에서도 어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전래동화와 창작동화를 비교한 결과 전래동화가 한국어 교육 텍스트로 이들 아동들에게 적합함을 제시하였다.
전래동화는 내용이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복되는 문장과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문화 내용이 들어 있다. 또한 선과 악이라는 대립된 인물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이 내용 이해가 쉬울 뿐만 아니라 듣기와 말하기 교육을 하기에 적절한 텍스트이다.
또한 전래동화 작품 선정기준으로 의성어, 의태어와 반복되는 문장이 들어 있어야 하며, 짧은 텍스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윤리적인 내용과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담고 있는 것으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래동화 텍스트를 활용한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어휘와 문형 학습, 내용 이해 학습, 문화 학습으로 나누어 이들 학습에 맞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 듣기와 말하기와 관련된 학습 활동들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한국어 교육의 수업 목표와 듣기, 말하기와 문화 교육이 포함된 통합 수업 모형과 이를 바탕으로 「파란 부채 빨간 부채」작품을 활용한 실제 수업을 제시해 보았다.
필자는 한 달 동안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1:1 수업을 실시한 결과 첫 수업에서 아동에게 전래동화를 들려주고 내용과 관련된 질문하였을 때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질문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나 몇 차례에 걸쳐서 전래동화 수업을 하는 동안 처음과는 다르게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은 전래동화 텍스트에 관련된 내용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하였다. 또한 전래동화 텍스트에 나오는 의성어와 의태어 등 반복되는 문장을 따라 하기를 좋아하였다. 그리고 전 시간에 배운 반복되는 문장을 혼자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말하게 함으로써 전 시간에 배운 반복되는 문장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전래동화를 활용한 1:1 수업을 하는 동안 스스로 책을 들고 이야기하기를 즐겼다. 이는 전래동화를 활용해 다문화가정 취학 전 아동에게 글자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책을 통해 읽는 것과 쓰는 것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실제로 다수의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수업을 하지 못한 점과 1:1 수업을 통한 수업이 일반화될 수 없는 점이 본고의 한계점으로 뽑을 수 있다. 현재 부산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다문화가정 취학 전 아동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