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 이후 설립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 필요한 문화예술 역량을 기르기 위해 학교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학교예술강사 사업을 ...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 이후 설립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 필요한 문화예술 역량을 기르기 위해 학교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학교예술강사 사업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예수업을 전달하는 공예강사의 수업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은 불만을 토로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공예수업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문화예술 공예교육의 참여자인 학생, 협력교사의 의견수용을 통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과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정책의 이해, 공예이론과 공예교육이론을 반영한 공예교육의 목표와 성취기준, 학교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중학교 교과서 공예도판 분석을 통해 학교문화예술 공예교육의 현재를 알아보았다. 학교문화예술 공예교육 정책을 반영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공예수업을 진행한 뒤, 공예교육의 참여자인 중학교 3학년 학생과 협력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존 수업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한 뒤, 실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에 대한 자기반성 및 수업 참여자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취하는 실행연구방법을 통해 학교문화예술 공예수업을 개선하려 한다. 연구자는 1학기 수업의 마지막 날 평정척도를 활용한 문항과 학생들의 생각을 묻고 의견을 수렴하는 질문들로 구성된 학생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설문지조사를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터뷰 자료를 제작하여 학생, 협력교사와 면담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설문지와 학생 및 협력교사 면담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문화예술 공예교육의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학교문화예술 공예교육 지도안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지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적용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학기 공예수업에서 다룬 재료의 혼합, 제작 방식의 혼합을 통한 결과물의 실용성의 증진을 목표로 하였다. 1학기 공예수업에서 터득한 관련 지식을 확장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계열성, 연계성을 띄도록 구성하였다. 기존 1학기 공예수업을 통해 터득한 공예 관련 지식을 포괄할 수 있으면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주제를 선정하여 공예와 관련한 여러 내용의 통합적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자율적 협동학습’ 방식을 적용하여 정해진 주제 내에서 주도적으로 소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조별활동을 통해 활동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자기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활동을 스스로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보완점을 스스로 찾아내어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료평가를 통해 다른 친구의 활동내용을 관찰하고 동료가 활동한 내용 중 장점을 통해 발전방안을 모색하려 했다. 본 연구에서는 ‘오방색 싱글섹션 바인딩’, ‘상감청자 기법을 응용한 그릇제작’ 이라는 주제의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오방색 싱글섹션 바인딩’은 1학기에 진행한 ‘싱글바인딩 노트 만들기’ 수업에서 활동한 싱글바인딩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 각자 활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노트를 제작하는 활동이다. 1학기에 배운 오방색의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오방색을 활용한 전통 생활용품을 참고하여 책의 표지를 디자인한다. 학생이 선정한 활동주제에 따라 조를 구성하여 활동한 결과물을 다른 조의 학생들과 공유한다. ‘상감청자 기법을 응용한 그릇제작’은 1학기의 수업에서 활용한 재료인 청자토, 화장토를 이용하여 제작방법, 소성방법, 장식방법을 다르게 적용한다. 1학기 공예수업에서 제작한 분청사기 냄비받침이 바닥을 제작하여 장식하는 것이었다면, ‘상감청자 기법을 응용한 그릇제작’에서는 테를 쌓거나 판을 민 뒤 그 위에 덧붙여 실용적인 형태를 제작하는 것으로 활동에서의 계열성을 띤다. 분청사기 기법을 제작할 때 사용한 재료를 바탕으로 다른 장식기법을 적용하고 다른 소성방법을 활용하여 제작하면서 지식의 범위를 확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지도안을 실행한 뒤, 학생 및 협력교사와의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개발한 지도안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을 들었다. 1학기에 진행한 설문지조사와 개발한 지도안의 동일문항인 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평균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인 t검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고, 결론에 따른 이유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을 반영하여 실행한 자신의 수업을 참여자, 관찰자인 학생과 협력교사의 의견을 통해 수정하고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참여자와 연구자 공동의 문제해결 노력을 통한 지도안의 개발을 통해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수 수준 제고 및 취향과 감수성 개발”과 “지식문화사회에 적합한 창의적 인력육성”이라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