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사회 곳곳에서 더 요구됨에 따라 글쓰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영어 교과서의 활동이 자유 작문에 비하여 ... 언어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사회 곳곳에서 더 요구됨에 따라 글쓰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더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영어 교과서의 활동이 자유 작문에 비하여 통제 작문의 단계에 치우쳐 있는 경우가 많으며 쓰기 수행 방식 역시 개별 쓰기 활동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이 학습하거나 습득한 영어 어휘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 작문 활동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초등 현장에서 작문 학습에 소그룹 협동 글쓰기를 적용한 시도를 적지 않게 찾아 볼 수 있으나 쓰기 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의견 수렴 및 합의 과정에서 교사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진 연구는 드물었다. 교사의 적절한 협력 전략 선택은 쓰기 전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 및 효과적인 의견 수렴을 돕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기법이 초등영어 협력쓰기활동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액션러닝은 ‘수업에서 공동의 실질적 과제 해결을 위해 러닝 코치(교사)에게 안내받은 전략을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거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며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션러닝의 기저 이론이 글쓰기의 과정에서의 학습 효과에 초점을 맞춘 과정중심글쓰기 이론과도 연관성이 있음에 착안하여 과정중심 글쓰기에 액션러닝 협력 기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수업이 학습자들의 쓰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의적인 영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대상은 연구자가 재직 중인 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들로, 총 12차시의 수업에서 진행한 4가지의 활동 결과물을 분석하여 실험학급과 비교학급의 유창성의 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쓰기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주관식 설문을 통해 질문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일반 과정중심 글쓰기 활동에 비해 쓰기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창성은 학습자가 산출해 낸 쓰기 결과물의 총 단어 수, 평균문장길이, 총 문장 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 협력쓰기 연구와 다르게 교사가 학습자의 의견 조율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선택한 협력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에 따라 학습자들은 불필요한 갈등 상황을 줄이고 효율적인 협력 활동을 거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해내고 쓸 내용을 확장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가 산출물에 반영되었다. 둘째,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 번 작성한 글을 다시 한 번 고쳐 쓰면서 학습자는 작문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지고 문장을 완성한다. 셋째, 추가적으로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활동은 협력하는 교실 문화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글을 쓰기 위하여 교사가 글의 목표만을 제공한 상황에서 글의 주제와 내용을 모둠원과 함께 의논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고, 함께 돌려 읽으면서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이렇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하는 교실 문화는 인성 중심 교육을 추구하는 현재의 교육 양상에 알맞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자유 작문 정확도, 성숙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작문 정확도의 경우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부담감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정의적 부담감을 낮춤과 동시에 정확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시킬 수 있는 영어 작문 수업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상위 학습자가 협력학습에서 정의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 구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위 학습자와 중위 학습자의 경우 협력학습에서 상위 학습자의 도움을 많이 받기 때문에 활동의 만족도가 큰 반면, 상위 학습자의 경우 학습 만족도가 부족한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 격차를 고려하여 상위 학습자의 성취도 향상 및 학습 만족도를 점검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과정중심 협력쓰기 활동이 하나의 수업 모형으로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서울시교육청에서 제안한 다양한 협력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과정중심 글쓰기 수업 활동에 알맞은 하나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현장 연구자들의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