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치원 만4,5세 혼합연령 학급인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유아와 성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본 연구는 유치원 만4,5세 혼합연령 학급인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지원 방안이 유아와 성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2.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 지원 방안이 유아와 성인에게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A시에 소재한 하늘유치원 만4,5세 혼합연령 학급 하늘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하늘반 유아 11명과 그 부모, 담임교사 1명, 방과후전담사 1명이었다. 연구대상 유아 만5세 5명과 만4세 6명 중에서 다문화가정 유아는 만4세 2명으로 중국 출신의 외국인 근로자 가정의 자녀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4일부터 12월 7일까지였으며, 연구자 학급의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자기들끼리만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는 문제점 인식 및 1차 실행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3차 실행방안 모색, 3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동영상 녹화, 사진, 녹음, 현장 약기 등을 자료로 수집하고, 일화기록, 유아 발달 평가 체크리스트, 부모 면담, 교사 협의 자료도 필요한 경우 추가로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 수집과 동시에 실행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 연구자의 느낌이나 해석, 새롭게 알게 된 사실 등을 수집된 자료에 첨부하여 기록하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범주화하고 코딩한 후 연구문제별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1차 실행 방안은 협동활동을 통한 또래 간 관계 개선하기, 소그룹 역할놀이를 통한 언어적 의사소통 지원하기, 다문화가정 유아와 교사 간의 친밀한 관계 형성하기였다. 2차 실행 방안은 함께하는 신체활동을 통한 또래 간 긍정적 관계 형성하기, 소그룹 역할놀이를 통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 지원하기, 다문화가정 유아의 상호작용 지원을 위한 가정과 연계하기였다. 3차 실행 방안은 방과후전담사와 협력하여 다문화 가정 유아 지원하기, 다문화가정 유아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또래 간 상호작용 지원하기, 다문화가정에서 부모와 유아의 상호작용 지원하기였다. 둘째,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두를 대상으로 방안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는 또래 유아들과 어울려 놀이하며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반가정 유아는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고,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편견은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태도 및 지식을 갖추게 되었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으며, 다문화가정의 부모 및 유아가 느끼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을 지원해줄 수 있게 되었다. 방과후전담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며 그에 맞는 지원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다문화가정의 부모는 가정에서 유아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안과 유치원 교육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일반가정의 부모는 유아의 영향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즉, 본 연구의 실행방안은 다문화가정 유아뿐만 아니라 일반가정 유아, 교사, 부모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늘반의 중국인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였다. 이러한 실행방안을 통해 하늘반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또래 간 긍정적 상호작용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일반가정 유아, 교사, 부모 등에게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가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 교사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