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분류별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이 (간접)흡연에 대한 건강 위험인식과 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Cigarette packages in most countries carry health warnings. Health warning labels on tobacco products constitute the most cost-effective tool for educating smokers and non-smokers alike about the health risks of tobacco use. In many countries, It is t...

Cigarette packages in most countries carry health warnings. Health warning labels on tobacco products constitute the most cost-effective tool for educating smokers and non-smokers alike about the health risks of tobacco use. In many countries, It is to be said that large number of smokers are much more likely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issue of smoking from warning labels than any other sources. Additionally, it has been ed that non-smokers, including children, have high level of awareness from warning labels. Theories in social and health psychology, supported by empir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using picture and imagery over text-only messages in health communication. Since the 1950s, many research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fear appeals” are effective in motivating health behaviour change (e.g. quitting). Moreover, it has been experienced that pictorial warnings are; more likely to be noticed than text-only warning labels; more effective for educating smokers about the health risks of smoking and for promoting smokers’awareness about the health risks; and associated with more powerful motivation for smokers to quit smoking. As explained above, the pictori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ensure of effectiveness to decrease smoking rates. However, some people are apt to ignore the cigarette warning pic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rmulate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ories for maximisation of cigarette warning picture effect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pplied ‘optimistic bias’ for recipients analysis which will play a role of critical tool in developing effective cigarette warning picture campaign strategy.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s of 'optimistic bias' on toward risk perception of health risk and attitude of prevention. The main health issue for this study is pictori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 and the method was survey.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on-line convenience sampling is 138. According to the survey, 66 people out of 132 participants are identified to have optimistic bias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and 38 people out of 132 participants are to have optimistic bias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ptimistic bias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also had negative effects to risk perception. Optimistic bias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had no effects on attitude. On the other hand,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effect on attitude. Also, the finding showed that high risk perception influence to positive attitude for pre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nti smoking health campaign to decrease optimistic bias.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the way to make people be highly involved in the health issue to lead the positive attitude for preven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at optimistic bias influence not only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but also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These are meaningful results becau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m to other health issue with this research model.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백만 명의 흡연자가 담배의 폐해로 사망에 이르고, 약 6십만 명의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의 영향으로 사망하고 있다(WHO, 2015).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으로 인한 ...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백만 명의 흡연자가 담배의 폐해로 사망에 이르고, 약 6십만 명의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의 영향으로 사망하고 있다(WHO, 2015).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줄이고자 담배규제기본협약을 제정하고 담뱃갑에 경고그림 부착을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연 건강 캠페인에서 수용자들이 기피하는 예방태도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수용자들은 다양한 위험 군에 대하여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건강 위험인식대한 선행연구는 발생되지 않은 사건에 대해 수용자들 이 높은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위험에 대한 비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흡연율 저하와 (간접)흡연피해를 줄이고자 국가는 다양한 금연 캠페인을 사회·문화적으로 펼치고 있지만, 흡연율의 저하는 날이 갈수록 둔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새롭게 실행하는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 부착 캠페인을 통해 수용자들의 낙관적 편견 형성이 (간접)흡연의 위험인식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낙관적 편견은 위험에 대한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수용자의 심리학적 현상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 분류별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간접)흡연의 위험인식과 예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교차비교분석, 상관관계 분석, t 검증, 이원분산분석 과 다중회기분석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자들은 주제 분류별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해서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수용자들은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에서도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였으며 신체 피해위험을 표현한 병변그림과 비교하여 간접흡연 피해위험을 표현한 비병변그림보다 약 4배 높은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였다. 추가적으로 확인한 인구통계학적 낙관적 편견의 빈도비율 차이에서는 성별만이 낙관적 편견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성별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은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 결과는 병변관련 경고그림과 비병변관련 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이 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결과는 병변그림, 비병변그림의 정도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예방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인식만이 예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는 금연 캠페인을 계획하고 실행함에 있어서 수용자들에게 위험인식을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금연 캠페인의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수용자들에게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을 줄일 수 있는 그림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위험인식과 신뢰를 추가로 포함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 대상에 더 다양한 연령 군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점,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모든 종류의 담뱃갑 경고그림을 포함하지 않은 것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하지만, 향후 담뱃갑 경고그림의 원만한 시행과 경고그림 개발에 본 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