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임상간호현장에서 경험하는 경력정체, 경력계획, 사회적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상관...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임상간호현장에서 경험하는 경력정체, 경력계획, 사회적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상관성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는 100병상∼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7명이며,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26일부터 2016년 10월 6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illman(1992)이 개발하고 박근수와 유태용(2005)이 번역·보완한 경력정체 측정도구, Gould(1979)가 개발하고 김도형(2010)이 번역·보완한 경력계획 측정도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이승미(2012)가 수정·보완한 사회적 지원 측정도구, Mobley(1982)이 개발하고 문숙자(2010)가 번역·보완한 이직의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일변량 분산분석, 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경력정체는 2.73±0.48점, 하위요인인 구조적 경력정체 2.81±0.57점, 내용적 경력정체 2.64±0.56점이었다. 경력계획은 3.06±0.63점, 사회적 지원은 상사지지 3.47±0.54점, 동료지지 3.58±0.50점이었으며, 이직의도는 3.15±0.64점이었다. 구조적 경력정체는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현재 부서경력, 직위, 이직경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원은 상사지지에서 연령, 직위가, 동료지지에서 연령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직의도는 총 임상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구조적 경력정체(r=.308, p<.001), 내용적 경력정체(r=.346,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경력계획(r=-.147, p<.05), 상사지지(r=-.364, p<.001), 동료지지(r=-.321,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요인은 상사지지(β=-219, p=.006), 구조적 경력정체(β=.189, p=.012), 내용적 경력정체(β=.140, p=.047)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합병원 간호사의 구조적 경력정체, 내용적 경력정체, 상사지지는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경력정체를 해결할 수 있는 간호조직의 구조개선을 위한 대안 모색과 상사가 지지할 수 있는 조직문화 구축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