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Art Education at present is to let students understand various cultures and values on the basis of an appreciative eye, to encourage their ability to create culture and to bring into a positive change by teaching them. Art Education in sch... The role of Art Education at present is to let students understand various cultures and values on the basis of an appreciative eye, to encourage their ability to create culture and to bring into a positive change by teaching them. Art Education in school as well has changed according to its role, and getting out of an expression-centered teaching now it puts more interest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hich enables students’ enjoying art. Nowadays, the education aiming at cultivating one’s appreciation ability has become more highlighted. So forth, it is crucial how to teach students with Appreciation Education. The research presents alternatives in order to develop one’s ability to appreciate along with a theoretical study on Appreciation Education by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one, which is superficial and passive. Additionally, modern galleries as one educational field expand its functions by offering an exhibition for appreciation with a chance to experienc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having an experience in gallerie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providing vividness and supplementing several issues that may occur in school. On the other hand, it is undeniable that current Art Education is more leaned towards expression learning due to some problems. It is unfortunate that current curriculum does not fully make use of educational benefits from Art galleries and promote Art Education in cla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rive a proper understanding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students and an alternative plan on how to have a stereoscopic Appreciation class, and to suggest another on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Art gallery experienc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appreciate art. With the purpose as mentioned above, I studied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inspected Art Education then analyzed the content structure among a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planned a research class. As a main subject of the class, I chose the textbook <Art> (revised in 2009) published by Doosan Dong-a, which is currently used at C middle school, the subject for a research class located in Gyeonggi-do. Also, for the research I performed a homogeneity test on two classes of second graders at C middles school in Suwon-shi, Gyeonggi-do. And I verified that those are homogeneous groups then framed the experimental group of 25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25 as subjects. Six times of teaching was done each fo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For the experimental group, at its third and fourth trial, I let the students summarize what they learned from Appreciation Activity in Art gallery and write down a critical comment. For the control group, at its third and fourth trial, the students wrote a critical comment in a traditional way of Appreciation Education. The findings of measuring and analyzing the prior homogeneity test and the Art Appreciation test are like the following. Firstly, in the findings of analyzing the formation test shee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better score than the control.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Art experience was adjusted to, showed a better improvement in appreciating than the control group where a common appreciation teaching was done did,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re lie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e sense that it verified Art Appreciation class with art gallery experienc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bility of appreciating art. I expect that further studies on a variety of topics and a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ach chapter will be done, and contribute to enhancing one’s ability of appreciating through experiencing in galleries and promoting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오늘날 미술교육의 역할은 미적 안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라... 오늘날 미술교육의 역할은 미적 안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하며,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미술수업도 이러한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되었으며 표현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미술을 향유하는 감상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술을 감상하는 능력을 육성하는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술 감상교육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느냐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현수업에 편중되어있던 평면적이고 소극적인 미술 감상수업을 탈피하여 감상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교육이 감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의 미술관은 감상을 위한 전시와 더불어 체험적 요소까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폭 넓은 교육의 장으로 그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지고 있다.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교육은 실제작품을 접하는‘실물 기반’중심의 학습으로 현장의 생동감을 제공한다는 점과 학교교육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미술관 체험을 통해 보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의 미술수업은 여러 가지 문제 등으로 인해 표현학습에 편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미술관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채 학교수업에서 감상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입체적인 감상수업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미술관 체험을 통한 미술 감상교육 활동이 감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술관 감상 수업은 ‘현장학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는데 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미술관 감상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술 문화를 향유하고 즐길 수 있게 도와주며 현대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그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가지며 이에 연구자는 미술 감상수업의 한 과정으로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수업을 계획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이론적 배경으로 미술 감상교육에 관하여 고찰한 뒤, 미술관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을 바탕으로 연구수업을 계획하였다. 또한 본 수업을 위한 단원선정은 연구 대상인 경기도 수원시의 C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두산 동아> 출판사의 <미술> 교과서(2009 개정)에서 선정하였다. 해당 교과서의 감상영역인 ‘행복한 미술 감상’ 대단원은 ‘미술 작품 감상’, ‘미술작품 비평’의 두 단원으로 구성되어져있으며 ‘미술 작품 감상’, ‘미술작품 비평’ 단원에서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 수업 범위를 선정하여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현장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C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총 50명을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6차시에 걸쳐 블록타임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수업이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사를 실시하였고 두 집단이 동일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 5~6차시의 수업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에서의 3~4차시 수업은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서의 3~4차시 수업은 일반적인 교실 감상수업의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5~6차시에 작성한 비평문을 평가하고 두 집단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미술 감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3~4차시에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두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준다. 또한 미술관 체험을 통한 실험집단의 수업태도 및 참여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미술관 체험을 통한 감상 수업이 감상능력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교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관 감상수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미술관과 학교, 교사들의 노력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