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한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의 사회적 소통 강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are utilizing various online services and reinforcing the function of social communication. Especially, both museums suggest new paradigm of museum in information era. In additio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are utilizing various online services and reinforcing the function of social communication. Especially, both museums suggest new paradigm of museum in information era. In addition, they use various online services, narrow the gap between the museum visitors and reinforce the museum authority at the same time by leading different interaction effects of each user's digital communication model.
This study is about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online service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changing the transfer·sharing method of visual art and social communication of museums. It is written about the practical role of museum online services based on period and social context.
In the chapter 2 classify the online services operated b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and analyzes the contents in detail. The online services from both museum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such as mobile applications, social network services, virtual museums, online collection, online education, e-book, and etc.
It tries to understand about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communication which emerges by changing formation of traditional information delivery method in modern, appearance of online services, and using of museum online services.
In the chapter 3, there is reinforcement of social communication from museums. It is depicted which is applied the examples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Then it examines the utilized online services examples and their features, then its influence on social communication. Firstly, there is the consolidation of user accessibility for museum contents. While existing users have been given some information passively, users of the day are able to participate in supply and demand process. It seems to be alterations for communication model which based on ‘knowledge-to-knowledge’.
Secondly, the museum online services are not limited to online based on web and its way is diversify gradually by interaction with offline museums. Compared with one-way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past days, the users of the present can use online contents without the pressure on time and space. They are able to interact on each other freely like information sharing. Another feature is applying users' feedbacks to museum marketing and services.
Lastl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are communicating with users through online services mutual interlocking. They are producing maximal services which can be used only offline museums such as museum archives to avail online.
Online services that used for social communication in a museum dimension are currently underway. This research draws changing visual information delivery and sharing way, essential role for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utilizing online service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It also suggests new culture and arts' paradigm as utilizing social communication of museum online services in the information age.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과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MoMA)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여 사회소통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두 뮤지엄은 ...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과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MoMA)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여 사회소통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두 뮤지엄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의 디지털 소통 모델에 따른 상이한 상호작용 효과를 이끌어냄으로써 정보화 시대 속 뮤지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관람객과의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동시에 뮤지엄 고유의 권한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서비스를 종류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그 사례별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변화하는 시각 예술의 전달·공유 방식과 뮤지엄의 사회적 소통에 대해 기술하였다. 시대적·사회적 맥락을 바탕으로 뮤지엄 온라인 서비스가 수행하는 실천적 측면에서의 역할을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사례별로 분류하여 그 콘텐츠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소통 모델에 적용하여 어떤 특징을 갖는지 연구하였다. 두 뮤지엄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상 뮤지엄·온라인 컬렉션·온라인 교육 서비스·e-book으로 분류된다.
전통적 정보 전달 방식이 현대로 넘어오면서 변화한 형태와 그로 인한 온라인 서비스의 등장, 뮤지엄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사회적 소통의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뮤지엄의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한 사회적 소통 강화에 대해 서술하고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의 온라인 서비스별 사례를 분석하여 세 가지로 도출한 사회적 소통 강화를 정리하였다. 첫째, 뮤지엄 콘텐츠의 접근성 강화가 있다. 기존의 이용자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제공받은 반면, 오늘날의 이용자는 수요와 생산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는 ‘지식 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소통 모델로의 변화로 볼 수 있다.
둘째, 뮤지엄의 온라인 서비스는 웹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에 국한되지 않고 오프라인 뮤지엄과의 상호작용을 함께 함으로써 그 방식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 오프라인 뮤지엄에서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 비해 오늘날의 이용자는 온라인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이용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등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뮤지엄에서 적극 반영하여 마케팅 및 서비스 제공에 적용하는 등 소통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은 온라인 서비스의 상호연동을 통해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 한계가 있는 감각적 효과 등의 문제를 타 서비스와의 적절한 혼합을 통해 보완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뮤지엄 아카이브를 제공하는 등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뮤지엄 차원에서 사회적 소통을 위하여 활용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현대미술관의 온라인 서비스 활용 사례룰 통하여 변화하는 시각 정보 전달 및 공유 방식과 사회적 소통에 필요한 역할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정보화 시대에서 뮤지엄의 온라인 서비스는 사회적 소통의 일환으로써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새로운 문화·예술의 패러다임을 제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