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열한 경쟁 환경과 사회적, 구조적 변화에 따라서 조직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주도적으로 일하는 프로다운 인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프로다운 인재를 키워내지 못하고 있... 최근 치열한 경쟁 환경과 사회적, 구조적 변화에 따라서 조직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주도적으로 일하는 프로다운 인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프로다운 인재를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대부분 단기적 성과주의 인사제도에만 집중하고 권한위임 등 열정과 추진력이 넘치는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동기 부여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에 착안하여 인재들에게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무자율성을 주도적 행동의 선행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유연한 역할지향성을 설정하여 살펴보았으며, 유연한 역할지향성과 주도적 행동 간 관계에서 상사의 변화에 대한 지지의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자율성은 유연한 역할지향성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유연한 역할지향성 역시 주도적 행동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자율성은 주도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유연한 역할지향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서 주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연한 역할지향성은 완전한 매개변수로 증명되었다. 셋째, 유연한 역할지향성과 주도적 행동 간 관계에서 상사의 변화에 대한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첫째, 주도적 행동을 예측하는데 주로 개인차 변인을 보았던 연구들과는 달리, 직무설계관점에서 직무 자율성이 주도적 행동에 끼치는 영향을 보았다. 둘째, 직무 자율성의 매개 효과로 자기효능감을 살펴보았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유연한 역할지향성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이의 영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셋째, 주도적 행동의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상사의 변화에 대한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이의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인재에게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해줄 수 있는 조직설계 및 환경조성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연한 역할지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주도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종업원 스스로 교육과 계발의 기회를 넓힐 수 있도록 조직차원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강조하는 기업에서 주도적인 종업원들을 양성하려면 변화에 개방적인 리더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부하가 믿고 본받을 수 있는 리더의 양성과 교육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설문지법만으로 모든 변인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공통방법으로 인한 편향(common method bias)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연구의 대상이 된 표본을 직무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영어로 만들어진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바꾸어 사용하였기 때문에 문화나 어의 차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넷째, 매개변수인 유연한 역할지향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부족하다. 다섯째, 주도적 행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조절변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를 보다 타당화하고 다양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ob autonomy on proactive behavior with a mediating of flexible role orientation in organizations on these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ob autonomy on proactive behavior with a mediating of flexible role orientation in organizations on these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s support toward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role orientation and proactive behavior. The results of data from 178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was proposed as a prior factor for flexible role orientation. Secondly, flexible role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proactive behavior. Thirdly, flexible role orient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proactive behavior. Finally, supervisor's support toward chang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role orientation and proactive behavior. These results hav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First, this study provides advice to environment in organizations how to motivate employees constantly. The point is that organization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employees' motivation. Second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for leadership development. That is, organization needs to develop and poster open leaders toward change or respectful leader. Thirdl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extend the area of moderator research related to proactive behavior by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