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생의 모어교육에 대한 고찰 : 심층 면담기법을 이용하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n Examination on Mother Tongue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 In current world, due to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various kinds of people live together. In Korea as well, the inflow of foreign...

An Examination on Mother Tongue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 In current world, due to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various kinds of people live together. In Korea as well, the inflow of foreigners which started with industrialization has increased rapidly for various reasons like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labors, etc. The number of children bor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Consequently, we need various educational systems and basic policies to respond to such changes. Bu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end to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ir adjustment in Korean life and learning.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multi-cultural children to maintain and develop the capacity to use mother tongue to give them emotional stability and develop their learning capacity, and, to cultivate them as global talents. This researcher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have met numerous students and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nking that capacity to use mother tongue is an important part which can connect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help students cultivate personal identities, this researcher started this research. Accordingly, this researcher did a research to activate mother tongue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in education places, using in-depth interview. This research did interview with 6 bi-lingual instructors and 6 mothers who receive the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interview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d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ways of improvement of mother tongue education. The contents of interview with bi-lingual instructor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atisfaction with introctor training process; work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contents, and communications with parents. Those categories were divided further. The contents of interview with mothers who were receiving education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ackground of parents, will of mother tongue education, and use of mother tongue. Those categories were divided further. This research discussed realistic and practical ways to revise mother tongue educ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uggestions by interviewees and interviews related with mother tongue education. It drew hints from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run by the government, operations run by education offices and research centers,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school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ggested ways to revise them. For mother tongue education to succeed, consciousness on the need of mother tongue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above all. And, it is necessary to do big-size demand survey on a system both supplier and demander of mother tongue need. Based on this survey, practical mother tongue educatio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by a national organization or a smaller governmental agency. And, in related research centers need to develop quality programs to perform such policies, and school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each students with such programs. Then, mother tongue education will be effective.

다문화 학생모어교육대한 고찰 : 심층 면담기법이용하여 오늘날 세계는 경제·사회·정치적인 요인으로 말미암아 국경을 초월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사는 세계화 시대를 맞...

다문화 학생모어교육대한 고찰 : 심층 면담기법이용하여 오늘날 세계는 경제·사회·정치적인 요인으로 말미암아 국경을 초월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사는 세계화 시대를 맞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외국인의 유입이 국제결혼 및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인해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이들이 다문화 가정을 이루면서 태어난 자녀들의 수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제도 및 제반 정책들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들은 주로 단기적인 관점에서 한국 내 생활 및 학습 적응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에 치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단순히 한국인으로서의 동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보다는 다문화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학습능력을 개발시키고 이들을 국가에 필요한 글로벌 인재로 키우기 위한 모어구사능력을 개발시키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실제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본 연구자는 다수의 다문화 학생들을 지도해왔으며, 해당 학부모들과의 면담을 통해 모어구사능력이 다문화 학생과 이주자 어머니를 정서적으로 연결시켜줌으로써 개인의 정체성을 함양시키고 학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층 면담기법을 이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모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모어교육의 공급자인 이중언어강사 6명과 교육수요자인 다문화학생의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중언어강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에서는 주제를 크게 강사양성과정에 대한 만족도, 근무 여건 및 만족도, 수업자료 및 수업콘텐츠 제공 그리고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으로 나누었으며 각 주제별 하위 범주를 세분화하여 상세히 서술하였다. 또한 다문화 학생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에서는 부모의 배경, 모어교육에 대한 의지, 모어의 활용을 주제로 하여 내용을 요목화하고 하위 범주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모어교육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와 피교육자 어머니들이 느끼는 현장의 의견을 듣고 그 과정에서 개진되는 면담자 스스로의 제언과, 면담내용을 종합하고 유추함으로써 얻어진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는데 정부의 교육제도와 정책적인 측면, 교육청과 연구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운영적인 측면, 그리고 학교를 비롯한 일선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실천적 측면에서 각각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모어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모어교육의 공급자와 수혜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는 모어교육 관련 정책이 국가기관 및 하위 부처를 통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 연구기관에서는 상위 기관에서 수립한 정책이 바르게 실현될 수 있도록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일선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해당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도할 때 효과적인 모어교육이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