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띄어쓰기 교육방안 -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분석에 따른 문법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re was no word spacing in Hangeul (Korean alphabet) when King Sejong the Great created it. Even without word spacing, Koreans had no special problems about reading and writing until the Joseon period ahead of modernization. That is because their un...

There was no word spacing in Hangeul (Korean alphabet) when King Sejong the Great created it. Even without word spacing, Koreans had no special problems about reading and writing until the Joseon period ahead of modernization. That is because their understanding of content with context led to have no big problems about reading even if there was no word spacing. Still, reading written contents with word spacing makes us feel much easier about reading. However, (with approaching modernization and) many foreigners coming to Korea, they learnt Hangeul arranged in a grammatical context, and Hangeul came to require word spacing. Foreigners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even context while learning Hangeul, which resulted in the necessity to have sentences with word spacing. In fact, a person who wrote with spacin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as John Ross who had been a British missionary. A person who formally suggested word spacing for the first time was American Dr. Hulbert. They were all foreigners. Accordingly, word spacing may be more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reading skill rather than Koreans who use the language as a mother tongue. Word spacing has become a must for Koreans now as a writing field that delivers feelings along with efficiency in reading and also delivers the meaning of a sentence correctly. However, word spacing seems to be difficult despite its 10 clauses and is also a sphere in which even native language learners who use the language show many errors. Hence, this study tried to seek an efficient word spacing teaching plan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improve the reading ability and can deliver meaning correctly and effectively based on right word spacing.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n Korean language learners' word spacing, above all, a survey of perception on word spacing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And to figure out with which method the word spacing is performed now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instruct in diverse places. This study also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s on word spacing where errors often occur through Korean language learners' practical composition writing and activity s, and tried to analyze this. Based on this, it formulated and arranged a grammar with frequent errors as an educational plan for efficient word spac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a teaching plan for dual instruction of sentence pause reading and word spacing along with solidifying the squared manuscript writing as a specific teaching plan available for utilizing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having arranged a grammar for the first time, which is segmented into many sections of Korean textbooks, with the grammatical formula peculiar to word spacing, in the midst of insufficient research of word spac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till, the grammaticalized formula is limited to word spacing that is often used, but isn't applied to all writing. Hence, further extensive research is needed. Keywords: Word spacing, Survey of perception,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errors, Grammar formula, Educational plan, Squared manuscript writing, Sentence pause reading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우리 한글에는 띄어쓰기가 없었다. 띄어쓰기가 없었어도 우리나라 사람은 근대화가 되기 전 조선시대까지 읽고 쓰는 데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왜냐하면 한...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 우리 한글에는 띄어쓰기가 없었다. 띄어쓰기가 없었어도 우리나라 사람은 근대화가 되기 전 조선시대까지 읽고 쓰는 데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왜냐하면 한국인들은 문맥으로 내용을 파악하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되지 않았다 해도 읽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단지 띄어쓰기를 한 글을 읽으면 읽기에 훨씬 편안함을 느낄 뿐이다. 그러나 근대화로 접어들면서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오게 되었고 그들이 한글을 익히고 이를 문법으로 정리하면서 우리의 한글에 띄어쓰기가 필요해졌다. 외국인들은 한글을 익히면서 문맥까지 이해하기는 어려웠기에 띄어서 쓰는 문장이 필요해졌으리라 본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한사람은 영국인 선교사였던 존 로스이고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공식적으로 제안한 것은 미국인인 헐버트 박사로 모두 외국인이었다. 따라서 띄어쓰기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우리나라 사람보다 오히려 원활한 의사소통과 독해능력을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에게 더 필요한 것일 수도 있다. 이제 띄어쓰기는 읽기의 효율성과 느낌의 전달, 더불어 문장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는 쓰기의 영역으로서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이 되었다. 하지만 띄어쓰기는 10개항에 걸친 조항에도 어렵다는 인식이 크고 한국어를 쓰는 모국어 학습자도 많은 오류를 보이는 영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올바른 띄어쓰기를 바탕으로 읽기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띄어쓰기 교수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한국어 학습자들의 띄어쓰기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하여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장소에서 지도하는 한국어 교사들을 인터뷰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작문쓰기와 활동지를 통하여 자주 오류가 나는 띄어쓰기는 무엇인지 실태조사를 하였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띄어쓰기를 위한 교육 방안으로 잦은 오류가 나는 띄어쓰기 문법을 공식화하여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방안으로 원고지 쓰기의 고착화와 띄어 읽기와 띄어쓰기의 병행수업 교수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연구가 미흡한 가운데 한국어 교재에 여러 갈래로 세분화되어 있는 문법을 띄어쓰기만의 문법공식으로 처음 정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문법화 된 공식은 자주 사용되는 띄어쓰기에 관한 것일 뿐, 모든 쓰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추후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제시어 : 띄어쓰기, 인식조사, 오류실태분석, 문법공식, 교육방안, 원고지 쓰기, 띄어 읽기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