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교과서의 가타카나어 연구 : 2007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atakana vocabulary is presented and treated by reviewing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in Korea based on a revised curriculum in 2007. The total number, the common denominator and the distribution frequen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atakana vocabulary is presented and treated by reviewing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in Korea based on a revised curriculum in 2007. The total number, the common denominator and the distribution frequency of Katakana vocabulary are compared and analyzed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Japanese language can be divided into pure Japanese, Chinese characters, loan words, and loanblends. Loan words are usually written with Katakana while Japanese coined words, loanblends and some pure Japanese can be described with Katakana, too. These words are called Katakana vocabulary by Saeki(2010).
The ratio of loan words from 70 kinds of magazines is 34.8%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Japanese Language in 1994. Katakana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as Japanese vocabulary considering this high ratio. But it is pointed out that Katakana is not taught enough in Japan because teachers are focusing on teaching Japanese grammar, Hiragana, Chinese characters in classes instead.
Similarly in Korea, Katakana is considered insignificant and the educational system to teach it is not well established. Therefore, Korean learners studying Japanese, from beginners to high-advanced level, think that Katakana is very difficul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otal number and the kinds of Katakana vocabulary that are being taught in Korea are insufficient. Additionally, such Katakana vocabularies mostly focus on Korean vocabulary, names of nations, places, and institutions.
In general, the types of loanblends that appear in textbooks do not have any particular emphasis but the selection of vocabulary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Katakana vocabulary. Even though loan words withナ-adjectives are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they are rarely included in the textbooks. In addition, Katakana vocabulary with New Katakana writing systems for accurate pronunciation of loan words are rarely included or even excluded in Korean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In Korea, high school Japanese teachers do not teach Katakana with 50 phonemes in the beginning but they teach Katakana whenever it appears in the context. The learning experience of Katakana vocabularies for Japanese learners should be equal when the students are studying Japanese at the same level in the same education curriculum even when they are using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Accordingly, major Katakana vocabulary that are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should be included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Moreover, the appropriate educational system for Katakana should be set up to help Japanese learners to communicate better with each other in dynamic global society. The importance of common denominator among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s in Korea should not be neglected since Japanese is one of the subject for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본고에서는 한국의 2007개정 교육정 고등학교 일본어 서에서 가타카나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상을 자세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어수, 개별어수, 출현빈도, 공...

본고에서는 한국의 2007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에서 가타카나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상을 자세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어수, 개별어수, 출현빈도, 공통도, 출현 가타카나어의 종류, 외래어계 ‘ナ’형용사, 가타카나어의 새로운 표기음 등을 비교분석하여 교과서의 가타카나어 출현을 총체적이며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일본어는 크게 고유일본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것은 외래어가 대부분이지만 그 외에도 일본조어와 외래어를 포함한 혼종어, 고유일본어지만 일반적으로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어휘 등이 있다. 이렇듯 외래어와 그 외에도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단어를 사에키(2010)는 가타카나어라고 하였다.
일본의 국립국어연구소(2005)가 1994년 발행된 70종의 잡지에 수록된 어휘의 어종비율을 분석한 결과, 개별어수 기준으로 외래어의 비중이 34.8%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높은 비중은 가타카나어를 일본어의 어휘로서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본 교육현장에서 가타카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과 문법 및 고유일본어, 한자어 등에 치중된 교육으로 인해 가타카나어의 충분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각하여 그 문제조차 제기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일본어 교과서를 살펴 본 결과 개별어수와 총어수의 출현이 부족하며 가타카나어 종류도 한국어, 국명·지명·기관명, 교과서용어 등에 편중되어 있다. 혼종어의 종류는 모든 교과서에서 대체로 고르게 출현하고 있으나 학습자들이 우선으로 학습해야 할 기본어휘를 바탕으로 하여 어휘 확장을 고려한 가타카나어선정이 필요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많은 출현을 보이는 외래어계 ‘ナ’형용사의 뚜렷한 출현은 없다. 외래어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가타카나표기 어휘의 출현은 적었으며 이런 단어의 출현이 배재된 교과서도 있다.
동일 교육과정의 동일수준 교과서 내 어휘는 중요도, 높은 공통도, 적절한 출현빈도수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가타카나어의 도입과 지도까지 충분히 고려한 일본어 음운체계 외 새로운 가타카나표기어의 교과서출현은 그러한 표기 및 발음지도가 필수사항이라 사료되므로 그 의미가 크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일본어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집필자의 주관에 따른 공통도가 낮은 다른 어휘의 출현이 많다. 교과서는 학습자가 최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할 중요한 가타카나어의 충분한 출현이 필요하며 그 사용례를 골고루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일본의 일상생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어휘 선정이 필요하며 수학능력시험의 한 과목으로서 교과서간 기본어휘의 공통도는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