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동 방언 화자의 표준중국어 비운모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鼻音韻尾存在/n/和/ng/的對立是漢語普通話韻母的特點之一. 山東方言中的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混用現象,鼻輔韻尾弱化,舌根鼻韻母讀音不到位等現象的存在,可以預測,漢語普通...

鼻音韻尾存在/n/和/ng/的對立是漢語普通話韻母的特點之一. 山東方言中的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混用現象,鼻輔韻尾弱化,舌根鼻韻母讀音不到位等現象的存在,可以預測,漢語普通話中的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是山東方言使用者的困難之一. 所以本文從實驗語音學角度略论山東方言使用者關于普通話鼻韻母發音的現象.
實驗對象分別由5名山東方言使用者的中國人,5名非山東方言使用者的中國人,5名第二外語爲漢語的韓國人組成. 錄音地點是韓國梨花女子大學錄音室. 有些不能在錄音室的實驗對象,進行了個別錄音. 爲了便于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的實驗略论,本文將以[n/n], [n/ng], [ng/ n], [ng/ng] 形式結合的詞語擬定20個,?將其放入語流中進行了略论.
整個實驗分爲三部分進行,第一部分爲認知實驗,被實驗者將按照給出的實驗例文進行發音,然後將其發音結果進行錄音和記錄.第二部分爲聽覺實驗,以調?問卷的形式,對15名被實驗者進行了測試,目的在于調?山東方言使用者能否正確辨認出發音中的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爲了音聲實驗結果的需要,韩语论文,聽覺實驗進行了兩次,分別使用了山東方言使用者和非山東方言使用者兩部分的錄音材料.第三部分爲音聲實驗,目的在于調?學習者是否在發音中區分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以非山東方言使用者發音的結果作爲區分標准.用 Praat version 5.3.7.1 略论了錄音資料,用 MS office excel 2010 進行了數據略论.共振峰頻率是元音聲學特性的表現,第一共振峰(f1)和舌位高低密切相關,舌位高,f1就低;舌位低,f1就高.第二共振峰(f2)和舌位前後密切相關,舌位?前,f2就高;舌位?後,f2就低.所以在音聲實驗中測定了f1和f2的數?.
實驗結果如下:
1)在認知實驗中,山東方言使用者,非山東方言使用者以及學習漢語的韓國人,三組被實驗成員,在對普通話鼻韻母的標音認知度上都表現非常高的認知度.這也看出,對于普通話鼻韻母的認知,山東方言使用者的問題集中在聽覺和發音上.2)在聽覺實驗中,對于普通話鼻音韻尾的認知程度,山東方言使用者在兩次實驗結果中,認知度最低,其次是學習漢語的韓國人,認知度最高的是非山東方言使用者的中國人. 3)在音聲實驗中,對于普通話鼻音韻尾的發音現象來看,山東方言使用者存在嚴重的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不分的現象.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的音長方面表現爲,N(s)>N(k)>N(c), NG(S)<NG(C)<NG(K) ?山東方言使用者發音時舌尖鼻韻母音長相對最長,舌根鼻韻母音長相對最短.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的舌位方面表現爲,N(s)>N(k)> N(c), NG(S)<NG(C)<NG(K) ?山東方言使用者發音時舌尖鼻韻母的舌位相對最?後,舌根鼻韻母的舌位相對最?前.因此造成山東方言使用者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不區的現象. 通過聽覺實驗和音聲實驗結果略论,兩者成正比關系.
山東方言使用者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不分的現象,對于在學習第二外語韓語,與普通話舌尖鼻韻母,舌根鼻韻母相對應的收音ㄴㅇ部分時,出現了同樣的發音錯誤現象.對于這部分內容本文采用與普通話鼻韻母同樣的措施,進行了較爲簡單的實驗略论.
本文通過對山東方言使用者普通話鼻韻母實驗的?究略论,得出以上語音現象結果,希望能爲今後以山東方言使用者作爲?學對象,無論是在漢語?學,還是韓語?學中,韩语论文题目,能?提供有利的,客觀的略论參考資料.

현대 표준중국어 어음체계 중에서 비운모를 포함하는 502개의 음절중에서 292개의 음절은 ?n과 -ng의 음소대립으로 전혀 다른 의미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전체 비운모음절의 60%를 차지하고 있...

현대 표준중국어 어음체계 중에서 비운모를 포함하는 502개의 음절중에서 292개의 음절은 ?n과 -ng의 음소대립으로 전혀 다른 의미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전체 비운모음절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표준중국어의 어음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비운모 ?n과 -ng를 구별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산동방언에서 설첨비운모는 설근비운모와 혼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비음운미의 약화와 더불어 설근비운모의 발음은 고착화되지 못하고 있다. 표준중국어의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의 구분은 산동방언 화자가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 음성학적인 각도에서 산동방언 화자의 표준중국어 비운모 발음 현상에 대해 실험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 대상은 5명의 산동방언 화자 중국인과 5명의 비산동방언 화자로 분류하였고, 5명은 제2외국어로 중국어를 공부한 한국인으로 구성하였다. 녹음 공간은 이화여자대학교의 조용한 강의실에서 진행되었다.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의 실험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n/n], [n/ng], [ng/ n], [ng/ng]의 형식으로 결합된 어휘 20개를 선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첫번 인지실험은 피실험자가 제시된 예문을 발음하는 것이다. 그 다음 발음결과를 녹음하고 기록한다. 두번째 청취실험은 설문조사 형식으로 15명의 피실험자에게 테스트를 하였다. 청취 실험의 목적은 산동방언 화자가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를 구별해 낼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음성실험결과의 필요를 위해 청취실험은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산동방언 화자와 비산동방언 화자 두 그룹의 녹음자료를 분별하여 사용하였다. 세번째 음향실험은 학습자가 발음 중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를 구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데 있으며 비산동방언 화자의 발음결과를 구별의 근거로 삼았다. Praat(version 5.3.7.1)를 써서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고, MS office excel 2010로 통계수치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실험 그룹은 산동방언 화자, 비산동방언 화자, 중국어를 학습한 한국인 화자, 세 그룹이며, 세 그룹 모두 예문을 보고 발음을 표기하는 인지실험에서 오류율이 낮아 높은 인지도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산동방언 화자는 비운모의 병음표기에 관해 문제점을 보이지 않았으며 청취 또는 발음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을 예측 할 수 있다.
둘째, 청취실험 결과는 표준중국어 비음운미 인지도에 대해서 비산동성 중국인 화자가 가장 높은 인지율을 보였고, 두 번째로 높은 인지율은 한국인 피실험인 그룹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인지율은 산동방언 화자 피실험인 그룹에서 나타났다.
셋째, 음향실험 결과는 표준중국어 비음운미의 발음현상에 대해서 산동방언 피실험자가 비운모 [-n ?ng] 를 구별하여 발음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이 특징적인 결과이다.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의 음길이에 따른 현상은 N(s)>N(k)>N(c), NG(S)<NG(C)<NG(K)으로 나타난다. 즉 산동방언 화자의 발음은 설첨비운모의 음길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길고, 설근비운모의 음길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다.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의 혀의 위치에 따른 현상은 N(s)>N(k)>N(c), NG(S)<NG(C)<NG(K)으로 나타난다. 즉, 산동방언 화자가 발음은 설첨비운모를 발음할 때 혀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뒤에 있었고, 설근비운모를 발음할 때의 혀의 위치는 가장 앞에 있었다. 따라서 산동방언 화자의 설첨비운모, 설근비운모는 구분되지 않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청취실험과 음향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해 두 실험의 결과가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산동방언 화자의 설첨비운모, 설근비운모를 구분하지 않고 발음하는 현상은 표준중국어와 제2외국어(한국어)에서 비운모 발음 오류를 동반하며 설첨비운모와 설근비운모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2외국어에서의 비운모 발음 현상 연구는 표준중국어 비운모와 같은 방법으로 차용하여 실험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앞서 살펴보았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산동방언 화자의 비운모 ?n, ?ng를 구별하지 못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산동방언화자가 비운모를 혼동하여 사용하게 된 원인은 알아내지 못했으며, 더 나아가 산동방언 뿐만 아니라 중국의 다른 지역방언 비운모의 변화 양상을 논의하고 분석하는 것은 흥미로운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동방언 화자,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에게 음운현상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발음 개선에 도움을 제공하는 교육적인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