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 실현에 대한 연구이다. 조음위치동화 현상과의 상관성을 통해서 위치동화 음운현상 사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어 위치동화 음...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 실현에 대한 연구이다. 조음위치동화 현상과의 상관성을 통해서 위치동화 음운현상 사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어 위치동화 음운현상과 중국어 위치동화 음운현상을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위치동화 교육 시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발음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신경 써서 가르치는 내용 중 하나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하는 음소이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음소와 한국어 음소를 같이 비교함으로써 발음 교육을 진행한다. 그러나 다양한 음은 다양한 음운현상의 작용으로 인하여 음과 음의 사이에서 음의 교체가 나타난다. 그래서 교육을 할 때 음만 비교해서 발음 교육을 실시하면 안 되고, 발음 교육의 과정에서 항상 놓치고 있는 음운현상도 제대로 가르쳐야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완벽하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발음을 교육할 때 한국어 자음이나 모음을 가르치는 동시에 다양한 음운 현상의 작용으로 인한 음의 교체, 즉 다양한 음운현상도 같이 가르쳐야 한다. 중국어는 한국어에 비해서 음운현상이 많이 없지만 중국어 음운현상과 한국어 음운현상 간에 공통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위치동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성 때문에 거의 모든 언어에 나타나는 가장 보편적인 음운현상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중국어에 모두 존재하는 음운현상은 자음위치동화 현상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의 위치동화 현상과 중국어의 위치동화 현상을 비교·대조함으로써 L₁, L₂ 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의 일부분이다. 다음으로는 본 연구의 타당성을 갖추기 위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위치동화에 대한 사용을 구체적인 발음실험을 통해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결과를 통해서 한국어 음절말 자음과 한국어 위치동화 현상의 교육법을 모색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사에 대해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위치동화 현상에 대해서 상세하게 정리하였다. 각각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한국어의 위치동화 현상과 중국어의 위치동화 현상에 대해서 각각 정리한 다음에 한국어 위치동화 현상과 중국어 위치동화 현상 간에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위치동화 음운현상과 관련된 단어들을 발화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발화 유형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예상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지적한 발음 유형 가설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위치동화 현상의 사용에 대해 발음실험을 실시하였다. 50명의 학습자들의 발음 유형과 발음 오류를 정리하고 분석한 다음에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위치동화의 사용에 대해 전면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위치동화의 사용에 나타나는 발음 유형과 발음오류의 원인을 바탕으로 한국어 위치동화 현상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한국어 음절말 자음과 관련된 교육 시안을 제시하였다. 수의적인 음운현상도 필수적인 음운현상과 같이 발음 교육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모든 내용을 정리하고 얻어진 네 가지 성과를 논술한 다음에 앞으로 계속 연구하고자 하는 방향을 서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