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 담화표지의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Korean discourse markers(DM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prosodic features on discourse markers’ functions in non-native Korean speakers’ use of Korean DMs. It is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Korean discourse markers(DM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prosodic features on discourse markers’ functions in non-native Korean speakers’ use of Korean DMs. It is because DM’s functions are used with a high level of relations to various prosodic features such as intonation, length, pause, etc. Thus, DMs’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need to be analyzed together since a DM’s function in utterances can be different if a prosodic feature changes. Also, discourse marker use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shows different prosodic features depending on DM’s functions, and the prosodic features of DM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tend to show difference compared to native Korean speakers. This study is constructed as follows: In Chapter 1, it refers to the purposes and necessities of the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resources and methods of the study. In Chapter 2, it arranges the theory 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definitions and features of DMs. In Chapter 3, it analyzes prosodic features on DMs’ -‘geu, geunyang’, ‘mak, mwo and ani’, which are highly used in native Korean speakers’ utterances- functions in non-native Korean speakers’ utterances. For this analysis, non-native Korean speakers’ utterances on TV shows were transcribed and audio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a voice analysis program. Audio materials in which DMs were used were analyzed as detailed as possible considering prosodic features - positions in utterance, tonal patterns, duration, and pause. In Chapter 4, it presents a summary of the results and refers to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nal patterns which have more than 3 patterns were highly used in non-native Korean speakers’ DM utterances except for ‘mwo’s ‘negative manner’ and ‘geunyang’s utterance mitigation functions. In contrast, tonal patterns which have more than 3 patterns were found only two DM’s functions, ‘mak’s negative manner and ‘geunyang’s focus functions. Second, some of the DMs’ functions such as ‘geu’s ‘topic initiation’ and ‘mak’s ‘negative mannerr’ functions in each speaker’s utterance were used longer respectively. Especially, DMs which have ‘maintenance of utterance’ function were used longer in general in native-Korean speakers’ utterances. Third, there was rarely pause in the DM ‘ani’s ‘refutation’ function and ‘geu’s ‘topic initiation’ function based on native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utterances. Also, there was no pause in ‘mwo’, ‘geunyang’ and ‘mak’ in each speaker’s utterance depending on the DM’s fun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offered the basic data for Korean DMs’ education by investigating prosodic features on DMs’ functions in non-native Korean speakers’ utterances.

본 연구는 한국담화표지 교수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실현되는 담화표지의 기능별 운율 특성을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와 비교하...

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표지 교수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실현되는 담화표지의 기능별 운율 특성을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와 비교하여 밝혀내고자 한다. 이는 담화표지의 기능은 억양, 길이, 휴지 등 여러 운율 요소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실현되는데, 담화표지에 실린 운율적 특성이 달라지면 동일한 발화에서 실현되는 동일한 담화표지일지라도 그 기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특성은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실현되는 담화표지 역시 담화상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때 운율 특성이 달리 실현되며,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와도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언급하고 기존의 담화표지 및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했으며 본 연구의 자료 및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담화표지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한 연구들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밝힌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 중 공통적으로 고빈도로 출현한 담화표지 5개 ‘그, 그냥, 막, 뭐, 아니’를 선정하여 이들 각각의 담화표지가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실현되는 기능별 운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V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한국어 비모어 화자 출연자들의 발화를 전사하고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성 자료를 분석하였다. 음성 자료 중 담화표지가 나타난 부분은 ‘발화 내 위치’, ‘음높이 유형’, ‘길이’, ‘휴지’의 운율 요소를 고려하여 최대한 자세히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담화표지 사용에 나타나는 담화표지의 기능별 운율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실현되는 담화표지의 경우 ‘막’의 부정적 태도 기능과 ‘그냥’의 강조 기능에서만 성조가 3개 이상인 굴곡성조가 나타난 반면,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경우 ‘뭐’의 부정적 태도 기능과 ‘그냥’의 주장 약화 기능을 제외한 모든 담화표지의 기능에서 성조가 3개 이상인 굴곡성조가 실현되었다. 둘째, 담화표지 ‘그’의 화제 시작 기능이나 담화표지 ‘막’의 부정적 태도 기능의 경우 한국어 비모어 화자 또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더 길게 실현되었다. 특히 ‘막’의 부정적 태도 기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가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경우보다 2배 이상 길게 실현되었다. 그리고 발언권 유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담화표지들 중 ‘그냥’을 제외한 나머지 담화표지들(‘뭐’, ‘그’, ‘막’)의 경우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상대적으로 더 길게 실현되었다. 셋째, 한국어 비모어 화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를 바탕으로 담화표지 ‘아니’의 반박 기능과 ‘그’의 화제 시작 기능의 경우 휴지가 거의 실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일부 담화표지(‘뭐’, ‘그냥’, ‘막’)의 경우 한국어 비모어 화자 또는 한국어 모어 화자 각각의 발화에서 기능에 따라 휴지가 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논의가 빈약했던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의 기능별 운율 특성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해 밝혀냄으로써, 담화표지의 기능뿐만 아니라 담화표지의 운율을 포함한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