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 대상 한국어 평가 기준 및 평가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대상 한국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계승어로서의 한국학습자인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에 올바...

본 연구는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 대상 한국어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인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에 올바른 평가와 충분한 피드백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와 학습 환경과 학습 목적이 다르고, 성인 학습자와 언어 발달과 인지 발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평가의 개발을 위해서는 평가 대상의 특성과 학습 목적에 맞는 평가 기준, 평가 내용, 평가 형식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기준의 마련을 위해 미국의 언어능력평가 기준과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 평가 기준, 현행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기준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재미 한글학교 아동학습자 대상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평가 내용은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어능력평가들과 재미 한글학교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들을 분석하여 평가 대상에 적합한 평가 주제와 평가 유형을 제시하였다. 평가 주제는 재미 한글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에게 친숙한 주제이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였다. 평가 유형은 현재 재미 한글학교에서 사용되는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과제 활동을 포함하는 통합적 평가 방식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미 한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에 비해 다양한 시각 자료와 과제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아동학습자 대상 영어능력평가도 평가 대상을 고려하여 평가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흥미를 유도하는 다양한 과제 활동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재미 한글학교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 유형 역시 평가 대상에 적합한 유형이 개발되어야 함을 언급하고 재미 한글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 유형을 제시하였다. 평가 형식은 재미 한글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평가 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시험시간, 문항 수, 문항 유형을 제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등급별로 차등을 두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한글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아닌 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평가 개발 시 평가의 기준, 주제, 유형, 형식만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보다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글학교 교육과정, 한글학교 교재, 한글학교 교재를 바탕으로 한 표준화된 시험 개발 및 지원 등이 서로 연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search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for early-ag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s the learners of the linguistic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search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for early-ag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s the learners of the linguistic heritage, the Korean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will require sufficient feed backs and proper evaluation for the sake of persistent learning experience. The early-aged learners in these schools are in a different context than those of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tongue. And, they show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compared to the grown-up lear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tools for these young learners,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items, and formats of evaluation that are appropriate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studies. For this reason, the author examined the criteria of language proficiency in the United States, s well as the general guidelines of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chools , and the criteria in the current TOPIK exam. And, these criteria are compared to one another and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se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arly-aged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The items of evaluation were suggested from the evaluation themes and formats that are suitable to the subjects of the evaluation, after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ests which are used on early-aged learners. The themes of the evalu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on the teachers in the said Korean language schools among the themes that could be experienced by the learners in their daily life and can stimulate the interest in them. As for the formats of the evaluation, the author found that, after analyzing the text books used in the said Korean language schools, the evaluation formats involved various task-based activities of various nature, resulting in an integrated evaluation format. The task activities in the text books can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formats.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used in these Korean language schools include more visual materials and task-based activities compared to the text books for grown-ups. Also, th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for children could consider the evaluation targets, so that the burden on the target audience can be reduced. And, the evaluations also included various task-based activities so that they could stimulate the interest in the children.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suggested that the test format for the early-aged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should be developed as appropriated to the young audience. The 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was also presented in terms of the duration of the test, number of questions, and formats of the test ques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Korean teachers in the said Korean language school, and the compositions were presented differently for each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In this study, the author on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evaluation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criteria when developing such an evaluation, as well as the formats and compositions of such evaluatio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 itself that can be used in a real school. It is the author’s hope that future studies w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evaluation tools that could be used in practice. Also, based on the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s and the text books used in such schools, it is the author’s hope that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onducted as the standardized test development and the supports are interlinked.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