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부정표현 연구 :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 문 요 약 한국부정표현 연구 -의미기능중심으로- 지금까지의 부정표현 연구는 부정요소라는 좁은 영역으로 한정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제 자연언어에서 확인된 부정표현...

국 문 요 약 한국어 부정표현 연구 -의미기능중심으로- 지금까지의 부정표현 연구는 부정요소라는 좁은 영역으로 한정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제 자연언어에서 확인된 부정표현은 형태에 구속되지 않으며 담화맥락을 통해 자유로운 방법으로 부정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비명시적 한국어 부정표현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전형적인 부정문과 구별되는 부정표현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실정보’를 전달하는 부정과 ‘부정감정’을 전달하는 부정을 구분 없이 다루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두 부정 개념은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사실부정]과 [가치부정]으로 구분하고 명시적 부정표현과 비명시적 부정표현으로 살펴보았다. 그동안의 [사실부정] 연구는 [명제부정] 개념으로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사실부정]에는 [명제부정]이외에 개별유형으로 [철회부정]과 [대립부정]이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가치부정]은 표현 형태에 따라 감정[가치부정]과 평가[가치부정]로 나타난다. 이처럼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는 한국어 부정표현의 특정항목에 대한 세부 유형과 표현에 관한 논의는 충분히 의의가 있는 일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부정표현의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더하여 연구영역을 넓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유의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는 담화맥락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부정어휘는 담화맥락에 따라 함의 또는 함축의미를 전달하며, 담화맥락의 영향으로 부정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문법요소 또는 어휘가 부정의미를 함축하기도 한다. 또한 부정의미 전달에 있어 담화맥락의 파악은 대화참여자에게 중요하다. 대화참여자의 담화맥락의 불일치는 의사소통 오류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실부정]은 발화목적에 따라 부정표현 양상을 달리한다. 가령, 발화목적이 부정감정 유발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 우회적 부정표현이 나타난다. 이에 반해 발화목적이 명확한 부정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라면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부정표현이 나타나고 청자의 정확한 사태 파악을 기대한다. [가치부정]은 대화참여자와의 관계에 따라 부정표현 양상을 달리한다. [사적관계]는 [친밀도]에 따라, [공적관계]는 서열에 따라 발화목적을 설정하고 청자에게 공감 또는 문제개선을 기대하고 발화된다. 셋째, [가치부정]은 주로 부정표현 발화자에게 [-이익]이 발생된 경우에 나타난다. [-이익]의 주된 원인이 부정표현 발화자일 경우 부정감정 전달을 발화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익]발생 원인이 대화상대자일 경우 대화상대자에 대한 질책 또는 추궁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정표현 발화에 대한 부담에 따라 [가치부정] 표현 양상은 달라진다. 대화상대자와의 관계가 [사적관계]이며 [관계유지]인 경우, 부정표현 발화에 대한 부담이 높기 때문에 평가[가치부정]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부정표현 발화자가 서열이 높은 [공적관계]인 경우, 부정표현 발화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에 평가[가치부정]이 쉽게 확인된다. 넷째,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부정표현은 주제라는 틀에서 움직이며 주제는 핵심주제로 한정되어 담화내용을 구성하거나, 핵심주제가 주변주제로 확장되어 담화내용을 구성한다. 핵심주제로 한정되어 담화내용을 구성된 경우는 부정대상은 하나이지만, 주변주제로 확장되면 부정대상은 둘 이상이 된다.

ABSTRACT A Study on Negative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 with a Focus on Meaning and Function Oh, Hyun Jung Majo...

ABSTRACT A Study on Negative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 with a Focus on Meaning and Function Oh, Hyun Jung Major: Korean Language & Culture Dept. of Kore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Erstwhile studies of negative expressions are limited to the narrow area of negatives. However, negative expressions verified in actual natural languages are not bound to form and convey negative meaning in a new method through discursive context. This study takes as its subject the Korean negative expressions in the affirmative form that failed to draw attention previously.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negative expressions distinguished from standard negative expressions have been examined by giving attention to the Korean negative expressions in the affirmative form. Moreover,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distinguish the negation which delivers ‘factual information’ and that which delivers ‘negative feelings’. As the two concepts of neg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they are identified as [factual negation] and [valuative negation] and examined as explicit negative expressions and non-explicit negative expressions. The erstwhile studies of negative expressions have focused mainly on the concept of [propositional negation]. In [factual negation], however, we know the different negations of [retractive negation] and [oppositional negation] in addition to [propositional negation]. Moreover, [valuative negation] are classified by the form of negation into feelings [valuative negation] and evaluation [valuative negation]. It is sufficiently significant to discuss detailed forms and expression in specific categories of Korean negative expressions. With this, I want to create a basis for expanding the area of study by adding new perspectives to the study of Korean negative expressions. The significant outcome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ocabulary is never influenced by discursive context. Negative vocabulary delivers implications or implied meanings according to discursive context, or grammatical elements or vocabulary that does not include negative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discursive context often implies negative meaning. Also, as far as delivery of negative meaning goes, it is important for dialogue participants to grasp the discursive context. It is because dialogue participants disagreement over discursive context can cause errors in communication. Second, in [factual negation], aspects of negative expression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tterance. It shows as roundabout negative expression, if the purpose of utterance is to minimize the inducement of negative feelings. Or, if the purpose of utterance is to deliver clear-cut negative information, direct and explicit negative expressions appear as one expects that the hearer will correctly grasp the situation. In [valuative negation], the aspect of negative expression varies with the relationships among dialogu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utterance is set by [closeness] in [private relationships] and by order in [public relationships]. Third, [valuative negation] shows mainly in case [-interest] occurs for the speaker of a negative expression. In case the principal cause of [-interest] is the speaker of a negative expression, the purpose of utterance lies in delivering negative feelings. However, in case the cause of the generated [-interest] is the dialogue partner, rebuking or questioning the dialogue partner constitutes its content. Also, the mode of expression of [valuative negation] varies with the burden related to the utterance of negative expressions. If the speaker has [private relationship] with the dialogue partner, the purpose of which is to [maintain relationship], evaluation [valuative negation] is almost never confirmed. In contrast, in a [public relationship] in which the speaker of a negative expression is of a higher rank, evaluation [valuative negation] is easily confirmed. Fourth, the negative expressions in communication operate within the framework of topics, which are limited to ‘core topic’ or have ‘core topic’ expanded to ‘peripheral topics’ in constituting the content of discourse. In case the discourse content is limited to ‘core topic’, there exists one single object of negation; whereas, in case it is expanded into ‘peripheral topic’, there appear two or more objects of negatio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