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래서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을 그 틀로 설정하고 언어 교육의 성취 목표 수립과 전략 설정을 통...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래서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을 그 틀로 설정하고 언어 교육의 성취 목표 수립과 전략 설정을 통해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목표 내용을 습득·활용하는 데 필요한 언어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이들의 요구와 수학하게 될 대학이나 대학원에서의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최대한 이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려는 다양한 시도가 시작되었고 그중 하나가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의 정의와 거기에서 활용되는 네 가지 교육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용과 언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각각 어디에 더 큰 비중에 두느냐에 따라 네 가지 교육 모형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이 언어 교육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내용을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려고 하기보다는 내용 자체를 가르치려고 하는 경향이 짙다. 그러다 보니 언어 교육의 목적 자체가 흔들리고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주체가 매우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래서 언어 교육적 관점에서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목표 내용의 습득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을 목적으로 선정·가공한 기초 내용을 활용하여 수행하는 언어 교육을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이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내용 기반 교육에서의 언어 교육은 목표 내용에 대한 근접발달영역으로의 접근과 축소를 지원해야 하며 그 역할의 수행을 위해서 내용 기반 언어 교육은 비계설정 전략으로서 작용해야 함을 보았다.
먼저 첫 번째 목표를 학습자가 목표 내용에 잘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언어 교육으로 설정하였다. 목표 내용으로의 접근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목표 내용역에서 이미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기본 개념을 공고화해야 한다. 그래서 첫 번째 세부 목표로 배경지식의 활성화를 설정하였고 두 번째 세부 목표로 기본 개념의 공고화를 설정하였다.
두 번째 목표는 학습자가 목표 내용을 잘 가공하도록 돕는 언어 교육으로 설정하였다. 목표 내용을 가공한다는 것은 핵심 내용의 구조를 파악하여 그것을 자기 나름의 방법으로 체계화하고 그것을 다시 한국어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첫 번째 하위 목표를 핵심 내용의 체계화로 설정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학문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내용 구조 열 가지를 선정하여 그것의 내용 요소와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목표 내용의 구조를 확인하고 내용 분석표를 작성함으로써 체계화시킬 수 있음을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학습 내용의 내면화를 목표로 설정하여 내용별 표현 요소들을 학습하고 내용 분석표를 자신의 언어로 다시 표현해 보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목표 내용의 습득 및 활용에 대한 지원이라는 목표 아래 내용으로의 접근을 위하여 배경지식 활성화, 기본 개념 공고화, 내용의 가공을 위하여 핵심 내용 체계화, 학습 내용 내면화를 하위 목표로 설정하고 각각을 성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는 이것을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의 모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의 유형을 크게 일반 목적 한국어교육과 특정 목적 한국어교육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이것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주제 중심 교육 모형과 병존 언어 교수 모형으로 보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먼저 목표 내용 가공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주제 중심 교수 모형을 설정하고, 목표 내용 습득을 지원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에서 세부 목표들이 어떤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하며 어떤 내용을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형태의 내용 기반 한국어 수업이 어떤 방식으로 실행되는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은 학문 목적 학습자들로 하여금 목표 내용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목표 내용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활용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특히 지금까지 특정 영역 내에서 미시적인 관점으로 이루어지던 내용 기반 외국어교육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여 언어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 연구가 좀 더 체계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 내용 기반 한국어교육,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목표 내용으로의 접근, 배경지식의 활성화, 기본 개념의 공고화, 목표 내용의 가공, 핵심 내용의 체계화, 학습 내용의 내면화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