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한국어 문법 항목 배열에 관한 연구 : 대학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의 분석을 중심으로 -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최근 한국어교육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면서 목적별, 기능별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어 문법교육에 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받...

최근 한국어교육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면서 목적별, 기능별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어 문법교육에 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각 단계에 맞는 문법 항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능력시험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하였는데, 교재는 현재 한국어교육센터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여러 교재들 중 네 가지를 택하여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한국어능력인증시험은 한국어능력인증시험(TOPIK) 홈페이지에 있는 기출문제 30회–36회까지 나온 ‘문법·어휘’ 단원을 바탕으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으로 한 분석 자료를 통해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항목을 선정하고 배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여기에서 제시한 것이 그 타당성이나 논리성을 검증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것이라고 말할 수 없으며, 한국어 문법 교육에 있어 기준을 제시하는 하나의 범주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하는데 하나의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As a lot of attention recently dumped Korean education by purpose, function has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about the Korean education. Among other things the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The purpose of...

As a lot of attention recently dumped Korean education by purpose, function has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about the Korean education. Among other things the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for the selection of grammar items for each step in the Korean grammar and syntax items selected in the entry-level. The study data were based on analysis of th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proficiency test currently in use, Materials were chosen to be analyzed by four of the many books that are actually used in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center, TOPIK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rammar’, ‘vocabulary’ sections from 30 until 36 questions and content that have previously appeared on the TOPIK website.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entry from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and the target was to present the array of standards. But one presented here would not be accurate to say that because it is not proven its validity or logicality, in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has left its significance to propose a single category presented the criteria. I hope this study is coming a little help for more research.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