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요 약
한국어 연결어미와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시간/ 나열/ 선택]을 중심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간] 연결어미 {-(으)면서}와 {-(으)며}, {-자}와 {-자마자}, {-고}와 {-아/어서}, {-...
국 문 요 약
한국어 연결어미와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시간/ 나열/ 선택]을 중심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간] 연결어미 {-(으)면서}와 {-(으)며}, {-자}와 {-자마자}, {-고}와 {-아/어서}, {-다가}, [나열] 연결어미 {-고}와 {-(으)며}, [선택] 연결어미 {-거나}와 {-든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와 관련된 중국어 대응표현의 기본 의미 기능과 의미 특성을 각각 살펴보고, 각 연결어미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전에서 제시한 자료를 활용하여 관련된 연결어미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통사정보를 살펴본다. 곧 문장의 통사 제약 -시제 제약, 주어일치 제약, 서술어 제약, 문장 유형 제약, 부정문 제약-을 논의한다. 특히 한국어 연결어미와 대응관계를 보이는 중국어 표현을 구체적으로 비교·대조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연구에서 구축하는 [시간/ 나열/ 선택] 의미를 지시하는 한국어 연결어미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관련 표현의 의미정보와 통사정보는 한국어교육과 중국어교육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논의하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장에서는 먼저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하고 나아가 연구 대상과 방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나오는 한국어 연결어미의 체계와 유형, 관련 중국어 대응표현의 체계와 유형을 각각 제시한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논의하는 한국어 연결어미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연구 범위를 설정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시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중국어 대응표현의 의미정보를 함께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 연결어미와 관련 중국어 대응표현의 통사정보를 대조 분석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 [나열]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중국어 대응표현의 의미정보를 함께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나열] 연결어미와 관련 중국어 대응표현의 통사정보를 대조 분석한다.
5장에서는 한국어 [선택]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중국어 대응표현의 의미정보를 함께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선택] 연결어미와 관련 중국어 대응표현의 통사정보를 대조 분석한다.
6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논의한 결과와 분석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이 연구는 [시간/ 나열/ 선택] 의미를 지시하는 한국어 연결어미의 정보 구축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는데 목표를 둔다.
|